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서울서 내집마련, 저소득층 48.7년 걸려… 상위 20%는 6.9년 소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급등한 집값에 소득 못따라가 서민층 2년새 15.6년 늘어날 때

상위 가구 1.2년 증가… 격차 커져

소득하위 20% 전국서 집 마련 4.7년 늦춰져 21.1년 꼬박 모아야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2년 동안 저소득층의 내 집 마련 기간이 5년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의 내 집 마련 기간은 큰 변화가 없었다.

7일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실이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 통계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2015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소득 분위별로 연소득 대비 주택구매가격배수(PIR)를 산출한 결과 올해 2분기(4∼6월) 소득 하위 20% 서민층의 PIR는 21.1년으로 나타났다. PIR는 소득 대비 주택가격을 보여주는 지표로 각 가구가 전체 수입을 모두 저축해 평균 가격의 아파트를 매입할 경우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를 보여 준다.

이는 2017년 2분기의 16.4년에서 4.7년 늘어난 것이다. 그 이전 2년간(2015년 2분기∼2017년 2분기)의 경우 15.2년에서 16.4년으로 1.2년 늘어나는 데 그친 점을 감안하면 최근 2년간 서민들의 소득 수준과 아파트 가격 간 격차가 더 빠르게 벌어졌다는 의미다. 소득 하위 20% 가구의 PIR는 2017년 2분기 16.4년에서 3분기 16.8년, 4분기 17년으로 소폭 늘어나다 지난해 1분기 20년을 넘어섰다.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전체 가구의 PIR도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2017년 2분기 5.5년이었던 전체 가구 PIR는 올해 1분기 처음으로 6년을 넘어섰고 2분기 다시 6.1년으로 증가했다. 반면 고소득층인 상위 20% 가구의 PIR는 2017년 2분기 2.8년에서 올해 2분기 3년으로 0.2년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 격차는 13.6년에서 18.1년으로 더 벌어졌다.

이 같은 현상은 서울 지역에서 더욱 심각했다. 같은 기간 소득 하위 20%(도시가구 기준) 서민층의 서울 아파트 PIR는 33.1년에서 48.7년으로 15.6년 늘어났다. 상위 20% 가구는 5.7년에서 6.9년으로 1.2년 증가했다. 두 계층 간 격차는 27.4년에서 41.8년으로 2배 가까이로 늘어났다.

저소득층의 PIR가 5년 가까이 늘어난 것은 이 기간 동안 해당 계층의 소득 증가폭이 아파트 가격 상승폭을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2017년 2분기 대비 2019년 2분기 소득 하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7.6% 감소했다. 반면 소득 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13.8% 증가했다.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17년 6월 4억1900만 원에서 올해 6월 4억7600만 원으로 13.5% 증가했다. 고소득층의 소득은 아파트 가격과 유사하게 상승한 반면 저소득층은 반대로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김 의원은 “정부가 계속해서 부동산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저소득층의 주택 마련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며 “정책 전반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새샘 기자 iamsam@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