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노벨 생리의학상 미국 케일린·서멘자, 영국 랫클리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소 농도에 따른 세포반응 연구

빈혈·암 등 치료법 개발에 기여

중앙일보

그레그 서멘자, 피터 랫클리프, 윌리엄 케일린(왼쪽부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의 윌리엄 케일린(62) 교수와 영국의 의사이자 세포 및 분자 생물학자 피터 랫클리프 경(65), 미국 존스홉킨스대 그레그 서멘자(63)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의 카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산소 농도에 따른 세포의 반응에 관한 연구 공로를 인정해 이들 3명을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세포가 산소 농도에 적응하는 과정을 밝혀내 빈혈과 암 등 혈중 산소농도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법 수립에 기여했다고 노벨위원회는 평가했다. 이들은 세포가 저(低)산소 농도에 적응하는 과정에 ‘HIF-1’이란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케일린 등은 2016년 ‘미국의 노벨상’ 또는 ‘예비 노벨상’으로 불리는 래스커상을 수상해 그동안 노벨 생리의학상의 유력한 후보군으로 자주 거론됐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총 900만크로나(약 10억9000만원)가 주어진다.

고규영 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는 “세 사람의 연구가 있기 전까지는 산소 농도에 따라 세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는 생리적 차원에서 이해하는 정도에 그쳤지만, 이들의 연구를 통해 분자 차원에서의 작용 원리를 이해하게 됐다”며“이들의 연구는 이후 빈혈에서부터 암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질병을 치료하는 이정표가 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면역세포를 도와 암을 고치는 면역항암제 원리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은 미국 텍사스주립대 면역학과의 제임스 P. 앨리슨(71) 교수와 일본 혼조 다스쿠(本庶佑·77) 교토대 특별교수가 수상했다.

노벨 생리의학상은 1901년 만들어졌다. 이후로 지난해까지 총 109차례, 216명이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1901년 첫 수상자는 디프테리아의 백신 개발 및 혈청 치료를 연구한 독일의 생리학자 에밀 폰 베링(1854~1917)이었다. 수상자를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104명으로 가장 많은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어 영국·독일·프랑스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올해 노벨상은 7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8일 물리학상, 9일 화학상, 10일 문학상, 11일 평화상, 14일 경제학상 발표로 이어진다. 지난해 미투 논란 속에 수상자가 없었던 노벨 문학상은 이번에 2018년과 2019년 수상자가 동시에 발표된다. 시상식은 12월 10일에 열린다.

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