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6 (월)

이슈 코오롱티슈진 '인보사' 사태

[국감현장]'인보사'에 '발암물질 사태'까지 혼쭐난 식약처(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근희 기자, 민승기 기자, 김민우 기자] [이우석 대표 "인보사 사태 참담…환자께 죄송" ]

머니투데이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식품의약품안전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 사진=홍봉진 기자 honggg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회 보건복지위 국정감사에서 '인보사 사태', '라니티딘 사태', '암 유발 인공유방보형물' 등 각종 안전 문제로 혼쭐이 났다. 특히 의원들은 여당과 야당을 가리지 않고 인보사 사태 대처와 환자 안전 관리방안에 대해 날카롭게 지적했다.

7일 열린 복지위 국정감사의 주인공은 주성분이 뒤바뀐 사실이 드러나 품목허가가 취소된 코오롱생명과학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케이주'(이하 인보사)였다. 이날 이우석 코오롱생명과학 대표를 비롯해 인보사 관련자 6명이 증인 및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의원들은 특히 인보사 투여 환자 안전관리 대책이 미흡하다고 비판했다. 장정숙 바른미래당 의원은 "식약처는 15년간 인보사 투여 환자를 장기추적 조사하겠다고 했지만, 인보사 투여환자 3006명 중 76%인 2302명만 등록됐다"며 "코오롱생명과학과 식약처는 환자관리 거점병원 25곳을 지정하겠다고 밝혔으나 협의가 완료된 것은 일산병원뿐"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4월 식약처는 6개월 이내에 환자 검사를 마치겠다고 했으나 현재까지 검사를 받은 인보사 투여 환자는 2명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코오롱생명과학은 인보사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문제가 없다는 보도자료를 내는 등 죄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며 "이런 회사를 믿고 환자 장기추적조사를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식약처 혼자 할 것이 아니라 보건복지부가 환자 관리를 총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증인으로 나온 이우석 대표는 이날 국정감사 내내 고개를 숙이며 사과했다. 이 대표는 "세포가 바뀐 것을 뒤늦게 알게 돼 너무 참담하고 환자들에게 죄송스러울 뿐"이라며 "회사의 명운을 걸고 환자 장기추적관리를 진행하고 있고, 이에 한없는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교수 시절 인보사 경제성평가를 진행한 이의경 식약처장에 대한 자격 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야당은 이 처장이 인보사 경제성 평가에 참여한 업체인 비아플러스 실소유주였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장 의원은 "인보사 경제성 평가를 진행한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은 당시 이의경 교수팀 이외에도 '비아플러스'라는 경제성 평가 전문 기업과도 용역계약을 체결했다"며 "일각에서는 이 처장이 간접비를 챙기기 위해 회사를 설립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 처장은 "제자들이 제1호 경제성 평가 전문기업을 만들 수 있도록 창업을 지원한 것 뿐"이라며 반박했다. 또 이 처장은 "경제성 평가를 수행한 연구자로서 과학적인 근거와 방법을 가지고 객관적으로 수행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라니티딘 사태, 암 유발 인공유방보형물 사태 발생과 관련해 식약처의 위급상황 대처 능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식약처는 미국이나 유럽 허가 당국 홈페이지를 통해 뒤늦게 위해정보를 파악한다"며 "해외 당국과 비밀 유지 협약을 맺어 발 빠르게 위해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명수 자유한국당 의원도 "식약처는 대국민 신뢰 저하로 곤욕을 겪고 있다"며 "여러 사안에 대해 선조치 및 신속 대응 체제를 강화하고 현장 중심 식품의약품 안전대책을 다시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처장은 "말씀해 주신 것에 대해 뼈아프게 생각한다"며 "지적사항 등 잘 반영해 긴 호흡으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답했다.

김근희 기자 keun7@mt.co.kr, 민승기 기자 a1382a@mt.co.kr, 김민우 기자 minuk@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