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조국 논란’ 두 달, 시민이 꼽은 화두는? ‘검찰개혁’ vs ‘불평등한 사회구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치연구소 ‘씽크와이’ 조사…찬반 입장 따라 어젠다 판이
한국일보

조국 법무부 장관이 1일 출근하기 위해 관용차에 오르고 있다. 이한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월 개각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을 내정하면서 시작된 ‘조국 논란’이 1일로 54일째를 맞았다. 조 장관 임명과 사퇴를 놓고 두 달 가까이 이어진 논란을 통해 시민들은 무슨 생각을 하게 됐을까. 찬성과 반대로 갈라진 시민들이 이 논란을 통해 주목한 화두는 각각 ‘검찰개혁’과 ‘불평등한 사회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연구소 ‘씽크와이(Thinkwhy)’는 응답자 2,248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 11일부터 10일간 ‘조국 사태가 우리 사회에 던진 의미는 무엇입니까’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시민들이 조 장관 임명 찬반에 따라 판이하게 다른 화두를 인식하게 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1일 밝혔다. 조 장관 임명에 찬성하는 응답자는 가장 중요한 어젠다로 ‘검찰개혁’을 꼽은 반면 반대하는 응답자의 경우 ‘계급이 대물림 되는 불평등한 사회구조’에 주목했다.

조 장관 임명에 찬성하는 응답자 다수는 ‘검찰개혁(30.9%)’을 가장 중요한 화두로 꼽았다. 근소한 차이로 ‘언론개혁(28.1%)’이 뒤를 이었고, ‘기득권 세력의 강고함과 적폐청산의 필요성(14.4%)’이 3위를 차지했다. 3개의 답변에 해당하는 응답은 전체의 73.4%에 이른다.

반면 임명 반대 응답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어젠다는 ‘계급이 대물림 되는 불평등한 사회구조(34.4%)’였다. 이어 ‘586세대의 위선(30.1%)’, ‘불합리한 교육제도의 개혁(6.6%)’ 순으로 무게를 뒀다. 임명 찬성자들이 가장 많이 답한 ‘검찰개혁’과 ‘언론개혁’, ‘적폐청산의 필요성’은 각각 4.3%, 2.2%, 4.3%에 그쳐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조국 논란을 둘러싸고 ‘검찰개혁’부터 ‘교육개혁’까지 다양한 어젠다가 제시됐음에도 불구하고 임명 찬반 또는 정치적 성향에 따라 양쪽이 극명한 차이를 보인 것이다.
한국일보

정치연구소 씽크와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두 달 여 동안 조 장관의 임명과 관련한 찬반 의견이 바뀌지 않은 응답자 비율이 94.5%에 달한 반면, 바뀌었다고 답한 응답자가 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임명 찬반을 둘러싼 찬반 의견이 쉽게 변하지 않고, 양 진영의 생각이 더욱 명확하게 갈라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게 씽크와이 측 분석이다.

김성회 씽크와이 소장은 이 같은 결과에 “조국 논란 이후 사안을 바라보는 인식이 찬반 양 진영에 갇혀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면서 “논란을 둘러싼 의견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지만 사회 전체가 동의하는 어젠다를 형성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과정이 매우 험난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이라고 해석했다.

씽크와이는 4,300여명의 패널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를 시민에게 묻고 민심을 파악하는 연구소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보한 패널의 주관식 응답을 자연어처리 프로그램과 퍼실리테이터 분석 과정을 결합해 조사했다. 따라서 일반 여론기관의 여론조사 방식이나 결과와 차이가 날 수 있다.

손효숙기자 sh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