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하나은행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ㆍ펀드(DLSㆍDLF) 피해자비대위가 1일 오전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앞에서 열린 DLS판매 금융사 규탄 집회를 하고 있다.(사진=뉴스1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박종오 기자] 대규모 원금 손실 사태를 낳은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를 판매한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내부의 위험 경고를 무시하고 상품을 소비자에게 밀어내기식으로 판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이 1일 공개한 ‘주요 해외 금리 연계 DLF 관련 중간 검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2017년 5월~올해 6월 사이 판매한 DLF 380건 중 2건만 내부 상품선정위원회에 심의를 올렸다. 은행 내규상 고위험 상품 출시 결정 때 상품선정위 심의와 승인을 반드시 거쳐야 하지만, 상품 구조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이를 생략한 것이다. 우리은행은 일부 위원이 평가표 작성을 거부하자 임의로 찬성 의견으로 바꿔치기하고 상품 출시에 반대하는 위원을 교체하기도 했다.
KEB하나은행도 2016년 6월~올해 5월 중 판매한 DLF 상품 753건 중 6건만 상품위원회 심의를 받았다. 위원회를 거친 상품이 전체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반면 두 은행은 은행 경영 계획에 매년 자산 관리 수수료 수익 및 DLF 판매 목표액을 높여 사실상 지점 등 영업 현장에서 상품을 밀어내기식으로 판매하도록 했다. 두 은행 모두 프라이빗뱅커(PB) 등 내부 직원의 인사 고과와 성과급 등에 반영되는 핵심성과지표(KPI) 상 비이자 수익 배점을 다른 은행보다 2~7배 높은 수준으로 정했다고 금감원은 지적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