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예멘 친정부군 내전…통일국가-남부 자치정부 설립 두고 이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출처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예멘 친정부군 진영에서 정부군과 남부 거점도시 아덴을 중심으로 자치정부 설립을 주장해 온 남부 분리주의 세력이 충돌했다. 양측은 2015년부터 ‘공통의 적’ 시아파 후티 반군과 맞서왔지만 각각 통일국가와 남부 자치정부 설립을 두고 이견이 커져 내분을 맞이했다.

10일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7~10일 4일간 정부군과 남부 분리주의 세력 간 교전이 일어났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재로 교전은 멈췄지만, 분리주의 세력은 정부군이 관할했던 아덴의 주요 군 기지, 중심 거주지 크레이터 등을 장악했다. 양 측의 충돌은 시간 문제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정부의 통일 국가를 지향하는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 예멘 대통령(정부군)과 달리 남부 분리주의 세력은 1990년 남북 예멘 통일 때부터 남부 소외를 이유로 자치정부 수립을 주장해왔다.

또 정부군은 사우디아라비아, 남부 분리주의 세력은 아랍에미리트(UAE)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미 UAE는 지난달부터 예멘에서 군대를 철수하기 시작해 사우디와의 공조가 무너지고 있다. UAE는 활발해진 이란의 군사 활동에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철수 이유로 내세웠다. 하지만 사우디의 잦은 오폭으로 인한 민간인 학살, 이에 따른 국제사회의 비난을 의식해 사우디와 거리두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예멘은 중세부터 극심한 종파 및 이념 갈등에 시달려왔다. 북부 산악지대는 시아파, 남부 평야지대는 수니파가 주류를 이뤘고 남북의 경제 격차도 심했다. 근대에도 수도 사나를 중심으로 한 북예멘은 1918년까지 오스만튀르크가, 석해균 선장으로 더 유명한 항구도시 아덴이 있는 남예멘은 1967년까지 영국이 지배했다. 이후 북예멘은 잠시 왕정을 거쳤다 공화제를 채택했고, 남예멘에는 공산정권이 들어섰다. 1978년 북예멘의 수장이 된 군인 출신 알리 압둘라 살레 전 대통령은 1990년 예멘 통일을 주도하며 33년간 장기 집권했지만 부패 및 노골적 남예멘 차별로 민심을 잃었다. 그는 2011년 중동 전역을 휩쓴 아랍의 봄으로 실각했고 당시 부통령이던 하디가 새 대통령이 됐다. 하디 정권도 시아파 및 남부 차별을 지속하자 발끈한 후티 반군은 시아파 맹주 이란을 끌어들였다.

이란의 든든한 지원을 받은 후티는 2014년 9월 수도 사나를 장악하고 하디를 몰아냈다. 그러자 2015년 3월 사우디가 UAE, 바레인 등 주변 수니파 국가를 규합해 후티 공습에 나섰다. 후티와 정부군의 내전이 이란과 사우디의 대리전으로 번진 셈이다. 이 와중에 알카에다 아라비아지부, 이슬람국가(IS) 등 무장단체가 창궐하고, 정부군과 남부 분리주의 세력의 대립도 심각해 ‘세계 최대 화약고’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카이로=이세형 특파원 turtle@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