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시그널INSIDE] 우리금융, 오버행 우려에 우리카드 지분 싸게 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롯데카드 인수 때 PBR과 비교해 우리카드 가치 낮게 평가

우리금융 오버행 우려 반영한 듯

경영권 프리미엄 반영하면 헐값 아니다 반론도

[편집자註] 이 기사는 2019년 6월 26일 08:33 프리미엄 컨버전스 미디어 '시그널(Signa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지주가 손자회사로 있던 우리카드 지분을 전부 교환·이전해 자회사로 편입하면서 명실상부한 금융지주사 전환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 과정에서 우리금융은 우리카드의 가치를 약 1조2,000억원으로 책정했는데 최근 MBK파트너스가 사들인 롯데카드와 비교했을 때 다소 저평가된 가격에 내부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경제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원래 우리은행 자회사로 있던 우리카드를 매입하면서 그 대가로 지주사 신주 4210만3,000주(6.2%)와 현금 5,984억원을 우리은행에 지급하기로 했다. 신주와 현금 비율이 50대 50임을 감안하면 우리카드 회사 가치를 1조1,968억원으로 본 셈이다. 이를 토대로 계산한 주가순자산비율(PBR) 값은 약 0.70이다. 이는 MBK가 롯데카드를 약 1조7,300억원(지분 100% 기준)에 사들이면서 책정한 PBR 값인 0.79보다 0.1포인트 가량 낮은 수치다. PBR 값이 1보다 낮으면 회사가 가진 자산에 비해 회사 가치가 더 낮게 평가됐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우리카드의 현금창출능력이 롯데카드보다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지난해 우리카드의 당기순이익은 1,265억원으로 롯데카드(1,112억원)보다 더 높았다. 특수관계인 거래라는 점을 감안해도 우리금융이 롯데카드에 비해 상대적 ‘헐값’으로 우리카드를 사들인 셈이다.

서울경제


IB업계에서는 우리금융 내부의 특수한 사정이 우리카드 평가액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금융 주가는 주당 1만4,000원대 아래서 몇 달 째 횡보하고 있다. 우리금융 신주로 카드사 매매 대금을 치러야 하는 지주사 입장에서는 카드사 가치를 높게 쳐 줄수록 신주를 더 많이 찍어내야 하는 이른바 ‘오버행’ 부담이 발생하는 구조인 것이다. 우리금융은 골드만삭스를 주관사로 선정해 이번에 발행하는 주식 6.2%를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에게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뜻대로 매각이 이뤄질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번 지분 교환 작업을 위한 밸류 평가는 우리금융지주 내부 신설조직인 미래금융부가 전담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IB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융회사 M&A는 현금흐름을 먼저 보는 제조업체와 달리 자본을 토대로 한 PBR을 주로 가치평가 방법에 쓰지만 이번 딜은 특수관계인 거래여서 상속 및 증여세법(상증법)에 따른 가치 평가도 병행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어쨌든 우리카드를 통째로 인수해야 하는 우리금융으로서는 카드사 가치를 낮게 책정하는 게 유리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IB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MBK에 넘어간 롯데카드의 경우 여신기능을 가진 모(母) 회사가 없어 향후 실적에 따라 신용등급이 변동할 경우 자금 조달 비용이 급등할 위험성도 있지만 우리카드는 이런 위험이 없어 더 안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롯데카드에 붙은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감안하면 우리카드 가치가 저평가 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우리카드는 내부 거래여서 교환가액을 산출하는 것으로 거래가 종료됐지만 롯데카드는 산출 가치에 더해 경영권 이전에 대한 추가 비용이 총 거래가에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서일범기자 squiz@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