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유진 사회팀 기자 |
지난해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에는 ‘몰카 금지 응급 키트’가 등장했다. 몰카를 설치한 구멍으로 의심되는 곳에 붙일 수 있는 스티커, 카메라 렌즈를 부술 수 있는 송곳, 작은 구멍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 얼굴 가리기용 마스크 등 자력 구제용품이다. 공공 화장실 불법 촬영 공포에 지친 여성들은 사비를 들여 키트를 구입했다.
그러나 최근 “몰카 금지 키트마저 소용없어졌다”는 얘기가 나온다. 불법 촬영범들의 주요 수법이 변했기 때문이다. 과거 화장실에 작은 구멍을 뚫어 소형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쓰레기 더미에 카메라를 몰래 숨겨놓았던 수법에서 이제는 화장실에 직접 들어와 찍는 수법으로 변했다. 사건을 담당하는 경찰들은 “요즘은 남성이 몰래 여자 화장실에 들어가 휴대전화를 바닥 빈 곳에 밀어 넣어 직접 찍은 뒤 도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이유로 ‘안심 화장실’ 또한 안심하고 사용하기 힘들다. 안심 화장실은 지자체가 불법 촬영 기기 설치 여부를 매달 점검하는 공중 화장실이다. 서울시에서 임명된 여성안심보안관들이 주기적으로 화장실을 점검하지만 몰래 들어와 찍고 도망가는 불법 촬영범들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많은 여성들이 공포와 함께 분노를 느끼는 이유는 불법 촬영 문제에 적극적인 개선책이 나오지 않는다는 데 있다. 불법 촬영범들의 수법이 변하고 최근의 집계를 통해 기존 대책만으로는 미흡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음에도 대응 방법에는 변화가 없다. 이미 화장실 칸막이의 양옆과 앞을 다 막아 빈 공간으로 촬영할 수 없게 하는 ‘안심스크린’ 설치 등의 대안이 있지만 설치된 화장실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미 일부 지자체와 경찰 등은 공중화장실 칸막이 아랫부분에 안심 스크린을 설치하거나 시공부터 바닥까지 막힌 칸막이를 시공하도록 조례를 개정했다.
얼마 전 온라인에서 화제가 된 “유치원생 딸아이가 불법 촬영과 이를 보는 아동 성범죄자들의 표적이 될까봐, 아이가 볼일을 볼 때면 화장실 같은 칸에 들어가 온몸으로 아이를 가린다”는 한 엄마의 얘기에 많은 사람들이 공감을 표시했다. 언제까지 소극적인 대책만 내놓을 것인가. 자라날 아이들도 성인들도 모두 불법 촬영의 공포에서 벗어날 날을 기대하고 있다.
권유진 사회팀 기자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