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방안 간담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금융 민영화 3대 원칙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조기 민영화,금융산업 발전이다. 이 중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해서는 주가가 뒷받침돼야 한다. 그런데 주가 수준을 따지자 매각이 지연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우선주가에 연연하지 않고 앞서 확정된 방안을 밀어붙이겠다는 심산이다.
25일 금융위원회는 전날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의결한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방안을 브리핑 했다. 방안에 따르면정부는 우리금융 잔여 지분 18.3%를내년부터 2022년까지 최대 10%씩 2~3회에 걸쳐매각하기로 정했다. 대규모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고 유찰이나 잔여물량은 블록세일 방식을 채택하기로 했다.
이세훈 금융위 구조개선정책관은'과거 정부나 예보 민간 주식을 매각할 때 항상 걸림돌이 어느 시점에 파는 게 가장 적절하느냐였다'며'결국 주가 수준이 어떻게 되느냐 고려할 수 있어서 매각이 지연되는 게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매각계획을 미리 발표한 이유는 시장에서의 불필요한 불확실성과 오해를 조기에 줄이고 우리금융 지주사 전환 마무리하면서 연계되는 예보 지분을 어떻게 처리할지 명확히 밝히기 위함이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금융지주가 민영화 기반 마련하고 민간 금융사로 성장하도록 뒷받침하기 위함이다'고도 했다.
다음은 문답.
현재 우리금융 주가가 원금회수 기준에 미친다고 보나
단순산술 시 1만3800원 정도로 수금하면 원금은 100% 회수할 것으로 본다.직접적인 공적자금 회수 외에도 우리금융이 민영화돼 금융시장 발전에 기여하는 점 등도 고려해야한다.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유일한 목표는 아니다.
주가가 하락해도 정해진 기한 내에 팔 계획인가
공자위가 검토할 텐데 공자위원들이 마련한 계획은주가에 연연하면 매각시기를 놓치고 매각이 지연되는 문제가 과거에 있었던만큼주가가 어느 정도 범위내에서 움직이면 일정에 따라 매각할 것이다.또다른 금융위기가 온다던가, 시장상황이 급변한다면 공자위가 다시 한 번 논의할 것이다.
매각 후 국회에서 책임을 묻는다는지 우려는
그런 문제들 때문에 매각 의사결정이 힘들고 그렇다보니 매각 시간이 오래걸린다. 공자위원들도지금까지 문제와 리스크를 고민하고 있지만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서는민영화를 서두르는게 옳다고 판단해 지분 매각계획을 밝혔다.
외국인이 대주주가 돼도 상관없나
적법한 범위에서는 상관없다.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라야 할 것이다. 그 이상은 정책적 판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매각 시 주가 상한은
매각을 실행할 때 주가 수준을 보고 공자위에서 재량껏 판단할 수 밖에 없다.현재로선 범위는 따로없다.
과점주주로 주인 없는 회사가 될 가능성이 있다
지배구조는 우리금융지주가 고민할 부분이다. 예금보험공사와 공자위가 지향하는 바는 지분매각이 1차적이다.
주식이 분산돼있다고 해서 주인이 없는 회사라고 보기에는 어렵지 않나 생각한다. 주식회사는 주주가 회사 주인이라고 봐야할 것이다.현행법에 소유지분 제한이 있기 때문에 그 범위에서 매각할 계획이다.
블록세일 잔여물량이 5% 넘어가면
희망입찰방식에서 10%가 다 팔리면 블록세일 하지 않을 것이다. 만일 희망입찰에서 7% 팔리면 나머지 3%만 블록세일로 처리할 것이다. 그런데 희망입찰에서 2%만 팔리면잔여물량 8% 가운데 5%만 블록세일로 처리한다. 나머지 3%는 다음 기회로 넘긴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쿠키뉴스 송금종 song@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