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美트럼프 정부 2년간 사이버공격, 지난 10년보다 더 많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지난해 8월 대통령 허가없이 사이버공격 조치 서명

"더 높은 수준의 위험초래…예기치 못한 피해 우려"

뉴시스

【워싱턴=AP/뉴시스】폴 나카소네 미국 사이버사령부 사령관이 지난 1월29일 미 상원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2019.06.24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우은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2년동안 행해진 미군의 사이버 공격이 이전 버락 오바마 행정부 8년간 시행된 사이버 공격 건수보다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23일(현지시간) NBC는 미 군사 해커들이 외국 네트워크에 침입해 상대 해커들을 공격하고 있으며, 사이버 충돌 시 인프라가 마비될 수 있는 사이버 폭탄을 설치하고 있다고 복수의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해 8월 트럼프 대통령은 사이버사령부가 대통령 승인없이 해외에서 사이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비밀 국가안보 대통령각서(Presidentaial Memorandum) 13호에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의 한 고위 관리는 "지난 8~10년간 사이버 작전은 두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였다"며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각서 이후 새로운 체계를 갖춘 지난해 8월 중순 이후 몇 달간 사이버사령부는 이보다 더 많은 작전을 수행했다"고 말했다.

러시아 등 이른바 적성국가들이 수년 동안 미 일부 지역에 악성 코드를 심어놨다는 주장도 있다. 한 관리는 "이는 첩보위성과 다를 바 없다"며 "군사 및 민간 인프라에서 취약점을 찾아내는 활동"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10년동안 미국의 해외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반응은 심각하게 무기력했고 우리는 사실상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며 "이제 적들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한계점을 확실히 알도록 해야할 것이다. 더 이상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11월 중간선거 당시에 미 사이버사령부는 가짜 소셜미디어 계정을 이용해 가짜 뉴스를 페이스북 등에 올린 혐의로 러시아 댓글부대 '인터넷 리서치 에이전시(IRA)'의 컴퓨터망을 폐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이버사령부는 지난 20일에는 이란의 로켓과 미사일 발사와 연관된 컴퓨터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사이버 공격을 했다.

오바마 행정부 당시에는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의 사이버 공격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보복 사이버 공격을 꺼려온 것으로 전해졌다.

미군의 공격적 사이버 작전 수행에 관여한 한 전직 고위관리는 "오바마 행정부에서 중국의 지적재산권 절도, 소니픽처스에 대한 북한의 해킹공격, 2016년 러시아 선거개입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논의했지만 사이버 공격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사이버 전문가들은 사이버 공격 정책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사이버전에 대한 교본이 따로 없고 예측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위험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마이클 대니얼 사이버위협동맹 대표는 "사이버 사고로 인해 예상치 못한 충격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며 "모든 사이버 공격 과정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사이버 공격은 또 제 3국 네트워크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도중에 해당 국가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swoo@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