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강원 접경지역·경기 연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주 생물권보전지역은 제주 전역으로 확대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접경 지역과 경기 연천군 전역이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 제주도의 생물권보전지역은 한라산 중심에서 제주 전역으로 확대됐다.

환경부와 외교부, 국립공원공단은 19일 오전(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31차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계획’ 국제조정이사회가 이렇게 결정했다고 밝혔다.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은 세계유산, 세계지질공원과 함께 유네스코가 선정하는 3대 보호지역 가운데 하나다. 지역사회가 적극 참여해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곳을 이른다. 이번 지정으로 국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은 8곳(설악산, 제주도, 신안다도해, 광릉숲, 고창, 순천, 강원, 연천)으로 늘었다.

이번에 지정된 ‘강원생태평화 생물권보전지역’은 비무장지대에 접한 철원과 화천, 양구, 인제, 고성 등 강원도 5개 군의 민통선 지역으로, 면적 18만2815㏊ 규모다. 함께 지정된 ‘연천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은 비무장지대에 접한 연천군 전체(5만8412㏊)다.

유네스코 국제조정이사회는 강원도 해당 지역의 생물다양성과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을 위해 비무장지대 남쪽 구간을 국가나 지역 차원에서 보호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권고했다. 연천군에 대해서도 생태계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법정 보호지역(습지보호지역, 생태경관보전지역 등)의 확대를 권했다.

한편 제주도의 경우 한라산을 중심으로 지정된 생물권보전지역의 범위가 곶자왈, 오름, 부속 섬인 추자도 등 육상과 해양이 포함된 제주도 전체로 확대됐다. 제주도는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는 관리계획을 확정한 후 기념행사와 국제학술포럼 등을 열어 생물권보전지역의 인지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환경운동연합과 임진강지키기파주시민대책위는 성명을 내고 “디엠제트(DMZ)뿐만 아니라 민간인통제구역인 접경지역도 생태환경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비무장지대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남북의 원활한 협력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남북협력시대를 맞이해 접경지역 중 가장 큰 개발압력을 받는 파주 접경지역도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좀 더 생생한 뉴스,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