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국회와 패스트트랙

이인영 "패스트트랙 고소·고발 취하, 국회선진화법 폐기해야 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靑의 야당 자극 발언, 사전 조율 없던 것…文 대통령과 독대 못 해"
"경제청문회 수용 못해…경제 토론회는 '경제失政' 낙인 거두면 검토 가능"

조선일보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지난 4월 선거제·사법제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과정에서 불거진 물리적 충돌을 두고 자유한국당과 서로를 고소·고발한 것과 관련해 "서로 고소·고발을 취하하려면 국회선진화법을 폐기해야 한다"고 19일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현 시점에 고소·고발을 취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당이 요구하는 고소·고발 취하를 당장은 수용할 생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원내대표는 "(고소·고발 취하는) 정치적인 유연성, 타협의 문제의식과 다르게 엄격히 봐야 할 문제"라면서 "고소·고발 취하를 국민들이 어찌볼지 주저된다. 취하가 정치불신에 미치는 영향도 작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국민 마음속에 정상 참작 사유가 생길 때 검토하는 것이 마땅한 도리"라고 했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정상화 협상 도중 청와대가 한국당 해산과 국회의원 소환제 도입 청원에 답변하는 형식을 빌어 야당을 비판한 것으로 해석될 만한 언급을 한 데 대해서는 "(당과 청와대가) 사전에 조율하지 않았다"며 "서로 독립적으로 정치 행위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했다. 이 원내대표는 "사전에 민주당과 청와대가 조율한 행위라면 비난받을 수도 있는 일"이라며 "사전에 조율하지 않고 행동했다고 공격받을 수도 있지만, 그런 공격을 받아도 조율하지 않았다고 분명히 대답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 원내대표는 취임 후 문재인 대통령과 독대(獨對)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단독으로 통화한 경험은 있지만, 따로 찾아뵙고 정국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전달하고 듣는 기회를 아직 가지지 못했다"면서 "국회정상화 이후에 문 대통령을 만나고 싶었는데, 정상화 과정이 너무 길어지면서 (독대를 못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처음 원내대표가 됐을 때 조만간 한번 뵙고 정국 전반에 관한 당의 얘기를 말할 기회를 요청했고, 문 대통령도 원칙적으로 흔쾌히 응했다"며 "필요하다면 (독대를) 조만간 만들 수 있다"고 했다

이 원내대표는 한국당이 국회 정상화의 전제 조건으로 경제청문회를 요구하고 있는 것과 관련 "경제 실정(失政)이나 국가 부채 논란과 관련한 프레임 공세"라며 "애초 합의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대상도 아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협상의 원칙을 섞거나 교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관행"이라며 "일종의 반칙과 같은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문제"라고 했다.

그는 다만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청문회 대신 제안한 '경제토론회'에 대해서는 "경제 실정과 국가 부채 책임을 인정하라는 연장선에서 청문회를 받으라는 것이 아니라면 검토할 여지가 충분하다"며 "낙인을 거둔다면 새로운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전날 제안한 '경제 원탁회의' 역시 "여야 간 타협의 절충점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한국당이 이야기한 경제실정이나 국가 부채 책임의 프레임과는 무관한 제안으로 생각한다"며 "(국회에) 돌아가면 문 의장의 제안에 대해 검토하고 답을 드리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원내대표는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에 대해 "충직하고 강직했다는 표현은 들었어도 정치권의 눈치를 보고 줄을 서서 정치검찰 행위를 했다는 것은 들어본 적이 없다"면서 "우리 정부의 이야기도 듣지 않고 자신의 원칙대로 강직하게 행동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걱정이 있을 정도"라고 했다.

[유병훈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