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올해 '분양가 9억 초과' 서울 아파트 비중, 절반 육박…강남 3구 비중 줄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높은 분양가가 미계약자 증가의 원인" 지적

서울 아파트 분양가 인상 흐름 지속은 미지수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올해 분양가 9억원을 초과하는 서울 아파트의 비중이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전후에 불과했던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의 비중은 지난해부터 가파르게 높아지고 있다.


20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되는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이 48.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억원 초과 서울 민간아파트의 비중은 2015년 12.9%, 2016년 9.1%, 2017년 10.8%로 10% 전후였으나 2018년(29.2%)부터 가파르게 높아졌다.


특히 강남 3구에 집중됐던 분양가 9억원 초과 서울 아파트는 올해 강남보다 한강이북에서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지난해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의 90%가 강남 3구에 위치했던 반면 올해는 이 비중이 76.4%로 떨어졌다. 한강이북에 들어서는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가 늘어난 영향이다.


한강이북 서울 아파트는 지난 2017년 용산과 성동구의 대형 고가 아파트 분양이 이루어지면서 9억원 초과 아파트가 12.6%로 늘어난 것을 제외하고 2018년까지 10% 미만이었으나 올해 45.4%로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한강이북 서울은 기존 한강과 맞닿아 있는 마포, 용산, 성동, 광진 이외에도 서대문과 동대문 등 도심으로 분양가 9억원 초과 분양 사례가 확산하고 있다.


분양가격 구간을 세분화해 분석해보면 8억원 초과~11억원 이하 구간의 비중이 커지는 반면 6억원 초과~8억원 이하 구간은 올해 들어 급감했다.분양가 6억원 초과~8억원 이하는 2018년 33.4%에서 2019년 4.4%로 줄어들었다. 분양가 8억원 초과~11억원 이하는 2018년 22.3%에서 2019년 44.9%로 두배 증가했다.


전용 84㎡아파트의 분양가격대별로는 지난해까지 8억원 이하가 2015~2017년 70~80%대의 비중을 차지했다. 강남3구 아파트 분양비중이 증가한 2018년은 45.4%로 절반 이하로 줄었고 올해는 17.0%로 비중이 더 하락했다. 분양가 8억원 초과~12억원 이하는 올해 72.2%로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의 분양가는 급격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까지 매매가격 상승과 신규 분양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높은 선호도로 양호한 청약실적을 올리는 것이 분양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서울의 경우 재개발ㆍ재건축 등의 사업방식이 아파트 분양에 주를 이루고 있어 고분양가 자제에 조합들의 협조가 쉽지 않은 점이 분양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라며 "대량 택지지구 조성으로 공공이 직접 분양가를 책정하고 분양에 나서는 방식으로 분양가를 조정할 수 있는 여지가 서울에서는 쉽지 않은 것도 분양가 상승의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크게 상승한 서울아파트 분양가가 청약 당첨자들에게 자금 조달에 대한 부담을 키우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다.


함 데이터랩장은 "중도금 대출을 받을 수 없는 분양가 9억원 초과도 자금조달에 부담이 크지만 9억원 이하도 계약금이 소형 오피스텔 가격에 준하는 수준이어서 계약 포기자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청약성적에 비해 저조한 계약실적이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분양가격 책정 전략과 기조가 현재와 같은 흐름이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고 설명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