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對中 수입 증가, 지역 제조업 생산·고용에 긍정적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지역경제보고서… 지역 경기는 전분기 수준 유지

아시아경제

최근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입 증가가 주요국과 대조적으로 지역 제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등 주요국은 대중국 수입의 큰 폭 증가로 제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우리나라는 대중국 수입이 중간재를 중심으로 증가해 지역 경제에 오히려 긍정적이었다는 평가다.

한국은행이 24일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 이슈분석 '대중국 수입 증가가 지역 생산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주요국과 달리 대중국 수입 증가가 우리나라 지역 제조업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부정적 영향보다 소폭이지만 더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의 대중 수입 비중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전체 수입 대비 중국 비중은 1990년 3.2%에서 2023년 22.2%로 크게 늘었다. 다만 해외 주요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대중국 수입 증가에도 불구하고 작년 제조업 취업자 수가 1995년의 94%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미국, 유럽 등의 경우 대중국 수입 증가로 2022년 제조업 취업자 수가 1995년 대비 75% 내외 수준으로 크게 축소됐다.

제조업 고용 증가 효과는 전국적으로 6만6000명 수준인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별로는 경남·인천·광주 등에서 긍정적 효과가 컸고 대구·경북 등은 부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컸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예림 한은 조사국 지연연구지원팀 과장은 "주요국과는 달리 오히려 소폭이나마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던 것은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입이 중간재를 중심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기준 67.2%에 달해 미국(31.6%), 유럽(39.6%), 일본(39.0%) 등 주요국에 비해 크게 높고 최종재 수입은 적은 편"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중국과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상호보완적인 교역관계를 구축해 왔으며 이는 비교적 우리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러나 최근 중국 이커머스 업체의 국내 진출로 앞으로 최종 소비재 수입이 늘어날 경우 미국, 유럽 국가들의 사례에서 보듯 제조업 생산·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2분기 지역 경제 ‘보합’...향후 소폭 개선 전망
한편 올해 2분기 지역 경기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생산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서비스 확산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및 친환경 차 생산 호조 영향으로 소폭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화물 물동량이 증가했지만, 민간소비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업체와 유관기관 등을 모니터링해 입수한 생산·수요·고용 동향 등을 토대로 전 분기 대비 경기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권역별 경기에 따르면 전국 7개 권역 가운데 충청권·호남권·강원권·제주권의 경기가 소폭 개선됐으나 수도권·동남권·대경권은 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향후 지역경제는 2분기보다 소폭 개선될 전망이다. 한은 조사국 이재원 지역경제조사팀장은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 및 부품이 보합세로 전환되겠으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IT 부문을 중심으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라며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이 증가 전환하겠으나 부동산업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전분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2분기 제조업 생산은 글로벌 AI 서비스 확산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 SUV 및 친환경차 생산 호조의 영향으로 전 분기보다 소폭 증가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충청권·호남권·대경권·강원권 모두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동남권의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제주권은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은 향후에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 부문을 중심으로 소폭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비스업 생산은 화물 물동량이 증가했으나 민간소비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권역별로는 호남권·강원권·제주권이 전분기보다 증가했지만 동남권은 유일하게 감소했다. 수도권·충청권·대경권은 보합세를 보였다. 향후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이 증가 전환하겠으나 부동산업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전분기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한은은 전망했다.

2분기 중 민간소비는 재화 소비가 감소하고 서비스 소비는 전분기 수준을 나타내면서 보합 수준을 유지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충청권·대경권·강원권이 보합세를, 호남권·제주권이 증가세를, 동남권이 감소세를 나타냈다. 한은은 향후 민간소비가 고금리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 둔화에 따른 가계 실질소득 개선의 영향으로 보합할 것으로 내다봤다.

설비투자는 반도체가 감소하고 자동차가 증가하면서 종합적으로는 보합세를 보였다. 권역별로는 동남권·충청권·호남권·대경권·제주권 모두 보합세를 나타내고 강원권은 증가, 수도권은 감소했다. 향후 설비투자는 자동차가 증가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반도체도 증가 전환하면서 소폭 증가할 것이라고 한은은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착공면적 및 SOC 예산 집행 규모가 지역별로 엇갈리면서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보였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증가했으며 충청권·호남권이 감소했다. 여타 권역은 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향후 건설투자는 고금리 및 미분양주택 누증의 영향으로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수출은 조선, 철강이 감소했으나 반도체, 자동차의 증가에 힘입어 소폭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동남권에서 크게 증가하고 충청권·대경권에서도 증가했다. 반면 호남권·강원권·제주권은 감소했다. 향후 수출은 반도체 수출이 증가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디스플레이 수출도 개선되면서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