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트럼프 “관세 보복하면 상황 더 악화할 것”… 중국에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중국을 향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보복할 경우 상황이 더 악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미국의 ‘관세 폭탄’ 조치가 미국 소비자의 부담으로 연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는 등 미국 내 후폭풍 차단에도 부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폭풍 트윗’을 통해 “관세가 부과된 많은 기업은 중국을 떠나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로 갈 것이며 이것이 중국이 협상 타결을 간절히 원하는 이유”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엔 아주 안 됐지만, 미국엔 아주 좋다!”면서 “중국은 너무 오랫동안 미국을 너무나 많이 이용했으니 보복해서는 안되며 더 나빠지기만 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의 많은 친구에게 ‘만약 협상을 타결짓지 않는다면 기업들이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떠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중국이 아주 크게 피해 볼 것’이라고 대놓고 말한다”면서 “중국에서 구매하는 건 너무 비싸다”고 거듭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신들은 훌륭한 협상을 했고 거의 성사됐지만 당신들이 파기했다”며 협상 결렬에 대한 ‘중국 책임론’을 거듭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미국 소비자는 중국에 대해 발효된 관세를 부담해야 할 이유가 없다”면서 “중국이 생산품에 대규모로 보조금을 주기 때문에 미국이 지급하는 게 겨우 4(%)포인트일 때 21(%)포인트는 중국이 지급하는 것으로 최근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관세 부과분 25% 가운데 중국 측 부담이 훨씬 크다는 주장으로 보인다. 그는 또 “비관세 국가나 미국 내에서 상품을 구매한다면(최상의 아이디어) 관세는 완벽하게 피할 수 있다”면서 “그렇게 하면 관세는 0”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전날 방송 인터뷰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이 결과적으로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을 적극 반박하는 차원이다. 자칫 대선 국면에서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참모가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기업 및 소비자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을 시인한 데 대해 맹공하며 격노한 상태로 아침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6월부터 600억달러 규모 미국산 제품에 최고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키로 하자 워싱턴 정가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3,250억달러어치 중국 수입품에 ‘관세폭탄’을 부과할 것이란 예고를 현실로 옮길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양정대 기자 torch@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