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미중 무역협상 시한 임박…정부, 내주 초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말 시한 이후 첫 공식회의…중장기 대응방안 주로 논의할 듯

아시아경제

이호승 기획재정부 1차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정부가 미·중 무역분쟁과 관련해 다음주 초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할 방침이다. 무역분쟁에 따른 중장기 후폭풍이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11일 "주말 동안 원만히 해결되면 다행이지만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올 가능성에 대비해 13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호승 기재부 1차관 주재로 열리는 이날 회의는 미·중간 무역협상 시한 이후에 처음 열린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의 구체적인 대응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무역협상 시한으로 공언한 게 10일인 만큼 우리나라 시간으로 11일 오후 1시가 협상시한인 셈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단기적인 영향도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냐가 주로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예고했던 대로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했다. 중국은 즉각 성명을 내고 보복 조치에 나서겠다고 대응에 나선 상황이다.


정부가 우려하는 것은 미중 협상결렬 후 관세 전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간부회의에서 "미·중 무역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미국의 관세 인상에 중국이 똑같이 보복할 경우 내년까지 미국과 중국의 국내총생산이 각각 0.3%와 0.8%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EU와 일본 등 다른 선진국은 물론이고 전세계 GDP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수출 비중이 높고 중국과의 교역량이 많은 우리나라가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회의에서는 국내 금융시장 상황도 보고된다. 전날 미국의 관세율 인상 시행 소식이 전해진 후 코스피는 한때 2090.39까지 떨어졌으며 같은 날 원·달러 환율은 장중 달러당 1182.9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한은, 금융위 등 관계기관들도 주말 동안 모니터링을 한다"면서 "시장안정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