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우리나라 고령층의 노후 준비가 미흡해 50대를 넘어 고령층이 될수록 소비성향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전체 소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수출과 내수가 균형을 이루는 경제로 구조를 바꾸려면, 근로소득 확대 등 고령층의 소득확충 방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10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고령층 가구의 소득과 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16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의 소비성향은 71.1%를 기록했으나 가구주 연령이 50대를 넘는 가구의 소비성향은 60%를 밑돌고 특히 6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의 비율인 평균소비성향을 연령대별로 보면 39세 이하 가구는 70.2%를 기록했고, 40대 가구의 소비성향은 75.9%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50대 가구는 67.9%로 떨어졌고, 60대 이상 가구의 소비성향은 67.2%로 가장 낮았다.
최근 10년 동안의 소비지출 증가율도 60대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60세 이상의 처분가능소득은 166만원에서 246만원으로 80만원(연평균 4.0%) 증가했으나 소비지출은 132만원에서 165만원으로 33만원(연평균 2.3%) 증가하는데 머물렀다. 연령대별 연평균 소비지출 증가율이 50대가 3.4%, 40대가 3.2%를 기록했던 데 비해 60대가 현저히 낮았던 것이다.
60세 이상의 평균소비성향도 2006년 79.5%에서 2016년 67.2%로 12.3%포인트하락했다. 같은 기간 40대의 소비성향이 80.7%에서 75.9%로, 50대가 74.6%에서 67.9%로 5~7%포인트 정도 낮아진 데 비해 60대 이상의 감소폭이 이의 2배를 웃돈 셈이다.
예산정책처는 “40대 가구주를 기준으로 50대에서 80세 이상 가구주로 갈수록 소비지출이 감소하고 감소폭도 더 커진다”며 “인구구조가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소득의 큰 변화가 없다면 전체적인 소비지출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고령화의 진전으로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고 성장잠재력이 크지 않을 경우, 일정한 소득 하에서 거시경제 전체적으로 소비지출의 규모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감안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예산정책처가 고령층 가구의 소득과 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령화연구 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자산보다 소득이 소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소득 중에서도 근로소득이 자산소득보다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정책처 분석을 보면 고령층의 가구총자산 가치가 1% 증가하면 소비지출은 0.08% 증가하는데 머물지만, 가구소득이 1% 증가하면 소비지출은 0.19% 늘어났다. 소득 중에서도 근로소득이 1% 증가하면 소비지출은 0.09% 증가하지만, 자산소득이 1% 증가하면 소비지출은 0.01% 증가에 머무는 것으로 분석됐다. 결국 고령층 소비 촉진을 위해선 근로소득 증가가 효과적이란 분석이다.
/hjle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