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노동생산성 5위→28위...한국 제조업 경쟁력 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글로벌 금융위기 후 다른 나라들과 달리 한국은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절반 이하로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미국 비영리 민간조사연구기관인 컨퍼런스보드 자료를 이용해 41개국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한국의 1인당 노동생산성이 지난 2002~2009년엔 연 7.0%로 5위였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0~2017년 연 2.8%(28위)로 빠르게 둔화됐다.

뉴스핌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비교대상 41개국이 연평균 3.4%(2002~2009년)에서 3.5%(2010~2017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과 대비된다.

제조업 경쟁력 측정지표인 단위 제조업 노동비용 증가율도 한국은 비교대상인 41개국과 반대로 움직였다. 제품 하나를 만드는 데 소요되는 노동비용인 단위노동비용이 감소하면 적은 노동비용으로 같은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경쟁력이 올라간다는 의미다.

뉴스핌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제조업 경쟁력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 연 평균 6.0% 증가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후 연 1.7% 감소로 바뀌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한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 연 평균 0.8% 증가에서 이후 연 2.2% 증가로 증가폭이 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단위노동비용이 한국보다 빨리 증가한 나라는 중국, 인도뿐이다. 한경연은 한국 제조업 경쟁력이 세계적 흐름에 역행하며 약해졌다고 지적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국내에서 유연근로시간제 개편, 최저임금 인상을 비롯한 주요 경제이슈를 다룰 때 생산성과 경쟁력 논의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며 “지금은 노·사·정이 생산성 향상, 국제 경쟁력 확보를 우선순위로 두고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nanana@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