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작년 가구당 부채 7770만원…GDP 대비 가계 빚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둔화했지만 가계의 빚 부담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에선 지난해 부채의 질은 오히려 후퇴했고 앞으로 빚 증가 속도도 예상보다 둔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오고 있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은 1534조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5.8% 늘었다.

통계청의 가구 추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가구는 1975만2000가구로 1.2% 증가했다.

가구 수보다 가계신용이 가파르게 늘면서 가구당 부채는 7770만원으로 4.6%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대부업체 등에서 빌린 돈에 아직 갚지 않은 신용카드 값(판매신용)까지 고려한 총괄적인 가계부채 지표다.

한은이 2002년 가계신용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구당 부채는 꾸준히 늘고 있으며 특히 2015~2016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정부가 부동산을 부양하기 위해 2014년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완화하고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내려가며 '빚내서 집 사자'는 분위기가 형성된 탓이다.

2015년(6328만원) 처음으로 6000만원을 돌파한 가구당 부채는 이듬해인 2016년(6962만원)에는 단번에 7000만원 문턱까지 불어났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오름세를 지속했다.

정부의 명목성장률 전망치(3.3%)를 바탕으로 추정해보면 작년 GDP 대비 가계신용은 85.9%로 전년 대비 2.1%포인트 올라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매일경제

서울의 한 은행의 대출금리 안내판의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정부는 지난해 9·13 대책, 10월 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 규제 도입 등으로 대출 고삐를 바짝 조였다.

지난달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 금통위원은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시장 정책과 가계부채 대책 영향으로 최근 증가율이 둔화하는 등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며 "올해에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출의 질은 악화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대출 규제 효과로 은행 문턱을 고신용·고소득자만 넘으면서 저신용·저소득자는 제도권 대출에서 밀려 아예 통계로 잡히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이유에서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의지를 보면 가계부채 증가율은 앞으로 4%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면서 "그렇게 되면 일정 신용등급 이상, 소득이 되는 차주만 은행권에서 돈을 빌릴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