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말랑말랑 장난감 '스퀴시' 간독성 물질 방출…영유아 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자료제공-소비자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최신혜 기자]시중에 유통ㆍ판매중인 스퀴시 완구 제품에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나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퀴시는 스펀지처럼 말랑말랑한 촉감으로 손으로 쥐었다폈다를 반복할 수 있는 어린이 장난감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ㆍ판매중인 스퀴시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방출 시험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점막 자극, 현기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간독성(간에 독성을 유발하는 것) 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가 방출됐다고 21일 밝혔다. 디메틸포름아미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일종이다. 노출 시 코ㆍ인후ㆍ눈ㆍ피부의 자극과 함께 현기증ㆍ수면장애ㆍ시야흐림ㆍ홍조ㆍ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간독성 물질이다.


조사 결과 12개 스퀴시 전 제품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가 시간당 54㎍/㎥ ~ 1만6137㎍/㎥ 수준의 농도로 방출됐다. 6개(50.0%) 제품의 방출량은 3세 이하 어린이에게 위해 우려가 있고, 이 중 2개 제품은 여러 개의 스퀴시에 노출될 경우 6~12세의 어린이에게 위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2개 제품 중 10개 제품에는 KC 마크가 있었지만, 사용자 최소연령과 품명 같은 일반 표시 사항이 제대로 표기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는 스퀴시 등 어린이 완구에 대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기준이 따로 없다.


한국소비자원은 "현재 스퀴시 등 어린이 완구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 기준이 없어 완구의 재질ㆍ용도ㆍ사용연령 등에 따른 안전기준 마련 검토가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 어린이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제품의 사업자에게 판매중지 및 회수 등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다. 해당 사업자는 이를 수용해 회수 조치하기로 했다.


소비자원은 냄새나 향기가 있는 스퀴시의 구매를 피하고, 특히 3세 이하의 어린이가 스퀴시를 가지고 놀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최신혜 기자 ss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