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잠잠한 北…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발표는 언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와 실무협상 및 트럼프 대통령 발표에도 불구 '조용'

내부 선전 위한 '최선의 시점' 노릴 가능성도

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노동신문) 2019.2.9/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서재준 기자 = 북한과 미국의 2차 정상회담 개최가 공식화됐으나 북한은 이와 관련한 발표를 하지 않고 있다.

10일 노동신문,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의 관영 매체들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확정과 관련한 어떤 언급도 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5일 국정연설에서 2차 정상회담의 개최지가 베트남이라고 밝힌 데 이어 8일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를 정상회담 장소로 지목하며 분위기를 띄우고 있는 것과는 결이 다른 모습이다.

북한이 2차 정상회담에 대해 언급한 것은 지난달 24일 조선중앙통신의 보도가 사실상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뒤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방미 결과를 보고했다는 보도에서였다.

통신은 당시 보도에서 "고위급 회담을 위한 대표단이 백악관을 방문하여 미국 대통령과 만나 제2차 조미 수뇌상봉(북미 정상회담) 문제를 논의하고 미국 실무진과 두 나라 사이에 해결하여야 할 일련의 문제들에 대하여 협상한 정형(상황)을 구체적으로 보고받으셨다"라고 전한 바 있다.

그나마 주로 외신을 상대로 한 조선중앙통신으로만 관련 소식을 전하고 주민들이 볼 수 있는 노동신문과 조선중앙TV로는 관련 소식을 전하지 않았다.

북한은 지난해 첫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는 회담 개최 한 달여 전인 5월 10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과 김정은 위원장 접견 사실을 노동신문 1면에 사진과 함께 보도한 바 있다.

노동신문은 또 6월 12일로 정상회담 날짜가 확정된 뒤 약 2주 뒤인 5월 27일 보도에서야 처음으로 북미 정상회담의 날짜를 언급했다. 24일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전격 취소 선언에 이어 열린 26일 남북의 비공개 정상회담 관련 보도에서였다.

당시 전문가들은 북한 매체가 '취소' 선언이 있을 뒤에야 비로소 추동력 살리기 차원으로 북미 정상회담 날짜를 처음 언급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 같은 분석이 정확하다면 북한은 실제 정상회담 전까지, 혹은 김정은 위원장의 출국 전까지 관영 매체를 통한 회담일정 공개를 하지 않으려던 의도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도 비슷한 방식을 구사할 경우 관영 매체를 통한 2차 북미 정상회담 관련 상세한 보도는 정상회담의 개최 직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미온적 태도가 북미 간 실무협상이 아직 '불완전한' 탓 아니냐는 관측을 제기하기도 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특유의 '화법 정치'의 일환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북한이 최고지도자의 동선과 일정에 대한 공개적 언급을 자제하는 관례에 따른 것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북한 내부적으로 정치적 선전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시점을 노리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김정은 위원장이 모든 주민들을 상대로 한 신년사를 통해 "미국 대통령과 언제든 마주 앉을 수 있다"라고 선언한 만큼 최고지도자의 권위를 최대한 부각할 수 있는 방식 혹은 시점을 골라 2차 정상회담 일정을 발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오는 16일 광명성절(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을 계기로 대내외적인 정치적 메시지와 함께 관련 사실을 공개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혹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북 등 북미 관계에서 북한 주민들에게 대외 행보에 대한 '명분과 설득력'을 얻을 수 있는 추가 이벤트를 추진해 2차 정상회담과 관련된 언급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
seojiba3@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