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정상회담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홍선미 기자 = 북·미 2차 정상회담 개최지가 베트남 하노이로 최종 결정되면서 선정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미국과 북한은 베트남이 가진 상징성과 지리적 이점, 경호 등을 고려해 역사적인 외교 이벤트 무대로 손색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베트남의 정치·경제적 상징성은 이번 북·미 정상회담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베트남은 반미(反美) 국가에서 미국과 우호적 관계로 돌아선 대표적인 사회주의 국가다.
또 정치적으로 공산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도이머이’(쇄신) 정책으로 자본주의 경제를 받아들여 빠른 경제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베트남의 이같은 역사성은 북·미 정상회담 후 새로운 북·미 관계의 미래를 보여준다는 상징성이 클 뿐 아니라 북한이 추구하는 개혁·개방과 경제성장 모델과도 궤를 같이한다.
특히 베트남의 하노이와 다낭을 놓고 막판까지 줄다리기 협상을 했던 미국이 북한을 배려해 하노이로 최종 ‘양보’ 한 것은 향후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북한의 ‘양보’를 요구할 수 있는 여지를 뒀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하노이’ 양보, 김정은 54년만에 베트남 국빈방문 주목
하노이는 북한 대사관이 있어 경호에 유리하다.
무엇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올해 베트남 국빈방문을 추진 중인 상황도 맞물렸다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리용호 외무상을 베트남으로 보낸 것을 시작으로 두 나라 간 활발한 교류를 모색해왔다.
김 위원장이 북·미 2차 정상회담을 계기로 54년 만에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면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한 베트남의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다는 의향을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국가주석에게 피력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북한이 정상국가로서 베트남처럼 경제발전을 위해 매진해 나가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국제사회에 보내는 긍정적 효과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2차 정상회담을 할 장소로는 베트남 국립컨벤션센터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하노이 국제공항에서 약 40분 거리에 있는 베트남 국립컨벤션센터는 2006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렸던 곳으로 회담을 위한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는 평가다.
회담장 옆에 있는 JW 메리어트 호텔은 트럼프 대통령이 머물 숙소로 유력하게 꼽힌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