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국가유공자 지정 추진 중"
이국종 "닥터헬기에 이름과 아틀라스 새기겠다"
"신화에 나오는 거인 ‘아틀라스’는 서구의 맨 끝에서 하늘을 떠받치고 있습니다. 그에게는 형벌과 같은 상황이지만 그로 인해 사람들은 하늘 아래 살아가고 있죠. 사람들은 아틀라스를 모르지만 그는 무심하게 버텨내고 있습니다. 선생은 아틀라스였습니다." <이국종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
설 연휴 본인 집무실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고(故) 윤한덕(51·사진)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을 추모하기 위한 영결식이 10일 치러졌다. 이날 오전 9시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 9층 대강당에서 ‘국립중앙의료원장’으로 열린 영결식에는 유가족과 동료 의사, 시민 약 300여명이 모여 윤 센터장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성 연휴에 근무를 하다 숨진 채 발견된 윤한덕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장 영결식이 10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치러졌다. 그는 우리나라 응급 의료 시스템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결식이 시작되자, 윤 센터장의 어머니는 "아이고 내 아들아"를 외쳤다. 끓는 듯한 곡소리가 새어나왔다.
장례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은 이국종(50) 아주대 권역외상센터장은 윤 센터장을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하늘을 떠받치는 신, 아틀라스’에 비유했다. 이 교수는 "본인에게 형벌과 같은 상황이지만, 아틀라스가 자신의 무거운 짐을 짊어지며 견뎌내는 덕분에 우리는 하늘 아래에서 살아갈 수 있다"고 추도(追悼)했다.
고 윤한덕 센터장의 장례식에서 추도사를 한 이국종 아주대 교수는 “그의 이름을 닥터헬기에 새기겠다”고 했다. /뉴시스 |
이 교수는 아주대 병원에서 곧 운행을 시작할 ‘닥터헬기(응급의료 전용 헬기)’가 윤 센터장과 함께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선생이 다른 헬기와 혼동하지 않도록 기체 표면에 윤 센터장의 이름과 콜 사인(Call Sign)인 아틀라스를 크게 박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날 영결식에는 이 센터장을 비롯해,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 윤태호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허탁 전남대 의과대학 교수, 임정수 가천대 의과대학 교수 등 동료들이 참석해 추도사를 했다.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윤 선생은 대한민국 응급의료의 개척자였다. 응급환자가 제대로 치료 받는 나라를 위해, 당신이 닦아온 응급 의료 체계를 이어 가겠다"고 했다.
허탁 전남대 의과대학 교수도 "1990년대 초중반 삼풍백화점 같은 국가 재난 사고가 발생했을 때 한덕이와 응급학 전공의를 시작했다"며 "한덕이는 날마다 죽어 가는 환자를 보며 몇 명의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환자를 잘 치료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그런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윤한덕의 시작이었다"고 고인을 추도했다.
윤 센터장의 장남 윤형찬씨는 "정직하고 정도(正道)를 걷는 아버지를 보며, 아버지가 하는 일들이 옳다고 믿고 지지했다"며 "함께 슬퍼하는 국민 여러분께 머리 숙여 감사하다"고 전했다.
윤 센터장은 응급의료 전용헬기를 도입하고, 응급진료 정보망 시스템을 만드는 등 국내 응급의료 체계 구축에 헌신했다. 그는 1994년 전남대에 처음 생긴 응급의학과 1호 전공의다. 2002년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문을 열며 응급의료기획팀장으로 합류했고, 2012년 센터장이 됐다. 전국 17개 응급의료지원센터를 총괄하는 중앙응급의료센터 재난응급의료상황실에서 재난 상황을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했다.
윤 센터장은 설 연휴 기간인 지난 4일 오후 6시쯤 근무 중이던 자신의 병원 사무실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 병원에서 초과 근로를 하다가 과로사한 것으로 파악된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1차 부검 결과 ‘급성 심정지’(심장마비) 소견이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윤 센터장을 국가유공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홍다영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