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트럼프 “이달 말 시진핑 안 만나”…‘그랜드 딜’ 일단 무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7~28일 북-미 정상회담 이은 미-중 정상회담 불발

지적재산권·강제 기술이전 등 무역분쟁 이견 팽팽

백악관 “합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거리 있다”

미 고위 관리 “트럼프, 3월1일 협상 시한 연장할 수도”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이달 중 만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가 북-미 정상회담 일정(27~28일)이 잡힌 이달 말 시 주석도 만날 계획이라고 밝혀 미-중 무역 협상 타결뿐 아니라 중국까지 참여하는 종전선언 등 ‘그랜드 딜’에 대한 기대가 나왔지만 무산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기자들이 ‘중국과의 협상 데드라인 전에 시 주석과 만나느냐’고 묻자 “아니다”라고 대답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다음달쯤에는 만나느냐’는 질문에도 “아직 아니다. 아마도”라고 답했다. 미국 행정부 고위 관리도 이달 말 미-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고 미국 언론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며칠 만에 바뀐 것이다. 그는 지난달 31일 백악관에서 류허 중국 부총리를 면담한 뒤 “시 주석과 만날 때 모든 사항이 합의될 것”이라며 미-중과 북-미 정상회담 일정을 연계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5일 국정연설 직전에도 방송사 앵커들에게 이달 말 시 주석과 만날 예정이라고 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 포스트>가 ‘27~28일 베트남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한 것과 맞물려,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하면서 시 주석과도 만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북-미-중 정상들이 모여 북핵 해결에 큰 진전을 이루고, 미-중 무역전쟁도 마무리하는 대형 이벤트가 펼쳐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었다. 문재인 대통령까지 참여해 남-북-미-중 4자가 참여하는 한국전쟁 종전선언이 이뤄질 수 있다는 추측까지 나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 이달 말에 만나지 않는다고 밝힘에 따라 4자 종전선언의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3월1일이 ‘휴전’ 만료일인 미-중 무역전쟁의 완전한 해결 가능성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휴전 만료일 전 미-중 정상이 만날 가능성이 없다는 소식에 뉴욕 증시 대표 지수들은 이날 0.8~0.9%대 하락세를 보였다.

미-중 정상은 지난해 12월1일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중국 상품 2000억달러어치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10%→25%)를 유예하고 3월1일까지 90일간 협상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협상이 불발되면 3월2일 0시1분부터 고율 관세를 매긴다고 관보로 밝힌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말을 바꾼 것은 무역 협상에 이견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은 미국 상품을 대량 구매해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겠다는 뜻을 밝히지만, 미국이 중국에 요구하는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강제 기술 이전 금지, 국가 보조금 지급 금지 등 구조적 이슈들에 대해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합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말 워싱턴 협상에 이어, 다음주 초에는 미국 대표단이 중국을 방문해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미국 정부 고위 관리는 이달 말까지 무역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이 시한을 연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뉴욕 타임스>가 보도했다. 이 관료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전화나 화상회의를 통해 타결을 시도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그 이상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