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브렉시트' 영국의 EU 탈퇴

존슨 영국 전 외무장관 "메이 총리, EU와 브렉시트 '안전장치' 재협상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브렉시트' 시한이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영국 정부가 EU와의 브렉시트 합의안 수정을 위한 재협상에 들어갈 것이라고 보리스 존슨 전 외무장관이 밝혔습니다.

대표적인 브렉시트 강경론자인 존슨 전 장관은 현지시간 27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기고한 글에서 영국 정부 최고위 소식통 2명을 인용, "테리사 메이 총리가 벨기에 브뤼셀을 찾아 EU 측과 '안전장치' 조항을 재협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습니다.

존슨 전 장관은 메이 총리의 이 같은 행보에 대해 "순도 높고 좋은 브렉시트 뉴스"라고 평가하고, 이것이 '부비트랩'의 뇌관을 제거하고 영국이 출구를 찾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메이 총리가 안전장치 조항에 있어 변화를 끌어낸다면 온 국민이 뒤에서 응원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안전장치는 영국과 EU가 미래관계에 합의하지 못할 경우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간 국경을 엄격히 통제하는 '하드 보더'를 피하고자 영국 전체를 당분간 EU 관세동맹에 잔류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브렉시트 강경파는 '안전장치'가 일단 가동되면 영국이 일방적으로 협정을 종료할 수 없어 EU 관세동맹에 계속 잔류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브렉시트 찬성파는 이 같은 안전장치가 영국의 완전한 EU 탈퇴를 가로막는다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안전장치를 둘러싼 이 같은 입장 차는 영국 하원이 지난 15일 승인투표에서 브렉시트 합의안을 압도적인 표 차로 부결시킨 핵심 요인으로 꼽힙니다.

이런 가운데 아일랜드 측은 안전장치와 관련한 재협상은 있을 수 없다고 천명해 난항이 예상됩니다.

사이먼 코베니 아일랜드 부총리는 이날 영국 BBC방송의 '앤드루 마르 쇼'에 출연해 안전장치는 메이 총리가 설정한 양보할 수 없는 선인 '레드라인'을 충족하고자 마련된 타협안이라면서 EU와 아일랜드는 안전장치 합의안을 수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사법농단 의혹 정점' 양승태 전 대법원장 구속
▶[끝까지 판다] 의원님 측근들의 수상한 건물 매입
▶네이버 메인에서 SBS뉴스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