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무늬만' 수술실, 지원금은 어디로?…거부 당한 환자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충분히 살릴 수 있었던 아이를 눈 앞에서 무기력하게 떠나 보내야 했던 한 아버지의 절규, 어제(15일) 이 시간에 전해드렸습니다.

◆ 관련 리포트

'방치 의혹' 2년 뒤 그곳서 또…"병원 무관심이 아들 앗아가"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627/NB11756627.html

정부는 이같은 불행을 막겠다며 수천억 원의 예산을 쏟아 부어 지역별로 권역외상센터를 만들었습니다. 전국 17개 권역외상센터는 무너진 응급 진료의 최후 저지선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그와 같은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사용할 수 없는 수술실에 이름만 올려 놓은 의료진 그리고 정작 중증 외상 환자는 거부하는 외상센터, 황예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아주대 권역외상센터 의료진들이 환자를 소생실로 옮깁니다.

[이국종/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 : 췌장 파열돼서 서울에 경희대학교 병원에서 내가 헬기 띄우겠다고 했는데 거기서 필요없고 안 띄우겠대. 그냥 환자를 자동차로 보내버리고 있어 지금.]

지난해 말 지인에게 폭행을 당한 석 모 씨입니다.

췌장 파열로 내장기관이 녹아가는 상황.

애초 경희대병원에서 옮기려고 했던 곳은 가까운 의정부성모 권역외상센터였습니다.

[석 모 씨 어머니 : 맞았을 때 터진 거였는데 만 4일 만에 수술이 들어가는 거 아니야. 아휴, 못 산다.]

결국 경희대병원에서 40km 넘게 떨어진 아주대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겁니다.

[권준식/아주대병원 외상전문의 : 복막염이 심하게 생겼어요. 그래서 수술은 절단되어 있는 췌장 기준으로 3분의 2 정도를 절단하는.]

성모병원 외상센터 측은 다른 환자들이 많아 어쩔 수 없었다는 입장.

[의정부성모병원 관계자 : 응급수술이 있기 때문에 돈을 내면 받겠지만 더 가까운데 다른데 알아본다고 그렇게 얘기를 들은 거지.]

외상 환자를 돌볼 의료진이 부족했다는 겁니다.

이 병원의 권역외상센터 홈페이지입니다.

2017년까지 병원장이었던 전 모 교수가 의료진 명단에 있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9월까지 전 교수의 외래와 수술 건수는 0건.

해당 외상센터 의료진의 최근 6개월 당직표입니다.

다른 교수들의 이름은 보이는데 전 교수 이름은 보이지 않습니다.

권역외상센터 지침에는 의료진이 중증외상환자를 월평균 2명 이상 봐야한다고 나옵니다.

전 교수가 정부로부터 지원받는 연봉만 1억4400만원.

전 교수 측은 취재진에게 "수술에 참여해 조언과 어시스트를 하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인천의 중증 외상환자를 책임지는 길병원 권역외상센터입니다.

1층에 수술실 간판이 보입니다.

수술용 침대와 마취기도 있습니다.

정작 수술도구는 보이지 않습니다.

[간호사 A씨 : 그 수술실을 만들어놓고 거긴 사용하진 않고, 형식적으로 공간만. 창고로 써요 창고요.]

병원 측은 암센터 3층에 외상수술실이 따로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1층 수술실은 비상시에 사용하는 소수술실이라는 겁니다.

수술실 안 외상환자 전용 엑스레이 촬영기기입니다.

지난해 사용 내역을 살펴보니 5차례 테스트만 기록이 있습니다.

환자가 사용한 적은 없습니다.

[간호사 A씨 : 운영을 하면 손해 본다는 마인드도 있고요. 거기도 인력을 또 넣어놔야 된다는 거죠.]

길병원이 권역외상센터로 지정받으면서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금액은 80억원.

길병원 측은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황예린, 박수민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