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韓日 24일께 서울서 국장급협의…징용판결 관련 첫 대좌(종합2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30 대법 판결후 첫 실질 협의…한일 북핵 수석대표협의도 진행

연합뉴스

강제징용 (CG)
[연합뉴스TV 제공]



(도쿄·서울=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이정진 기자 = 일본 기업에 대한 우리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 이후 한일 관계가 냉각된 가운데 양국이 24일께 외교부 국장급 협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20일 파악됐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일 국장급협의를 조만간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며 "구체사항에 대해서는 아직 일본 측과 조정 중"이라고 말했다.

노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대법원 판결문제를 포함하여 한일관계 제반현안에 대해 일본측과 다양한 수준에서 소통을 지속해 오고 있다"고 부연했다.

일본 아사히(朝日) 신문은 이번 주말 서울에서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참석하는 한일 국장급 협의가 열릴 예정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가나스기 국장은 한국 주재 일본 공관장 회의 참석차 23∼25일 방한하는 계기에 우리측과 국장급 협의를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와 협의를 갖는다면 워킹데이(평일)에 열릴 것"이라고 말해 24일 개최가 추진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23일은 일요일이고, 25일은 공휴일(성탄절)이다.

이번에 국장급 협의가 열리면 10·30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한일간 갈등이 불거진 이래 사실상 처음 양국 정부 당국이 강제동원(징용) 문제를 놓고 대면 협의하는 자리가 된다.

대법 판결 이후 한동안 한국을 향해 감정적인 발언을 연달아 쏟아내던 일본 측이 최근 '한국 정부의 대응을 기다리겠다'는 등 입장을 밝힘에 따라 양국 갈등이 다소 진정되는 흐름에서 대화가 이뤄지게 됨에 따라 논의 내용에 관심이 쏠린다.

앞서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19일 일본 기자클럽에서 한 회견에서 강제동원 판결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한일관계의 법적 기반을 손상하지 않도록 대응해 줄 것으로 생각한다"며 우리 정부의 대응을 기다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사히신문은 한국 정부가 연내에 강제 동원 배상 판결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방침으로 알려진 만큼 이번 협의에서 이런 내용이 거론될지가 초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입장 정리 시기에 대해 언제라고 밝힌 적은 없으며, 충분히 심사숙고해서 정한다는 것이 우리 입장"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일제 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배상을 인정한 지난 10월과 11월 우리 대법원판결에 대해 "한일 청구권 협정에 위반한다", "국제법 위반이다"라며 반발해 왔다.

한편 가나스기 국장은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의 카운터파트이기도 해 이번에 한일 북핵 수석대표협의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가나스기 국장이 이도훈 본부장과도 만날 기회가 있고 김용길 국장과도 만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미쓰비시에 배상금 지급 촉구하는 일본 시민단체
[연합뉴스 자료사진]



choinal@yna.co.kr, transi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