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 부산항서 시범실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데이터 오류없는 신속한 물류 운송 가능

CBS노컷뉴스 김선경 기자

부산항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부두 간 컨테이너 이동 서비스가 시범실시된다. 데이터 오류나 누락없이 편리하고 신속한 물류 운송이 이뤄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는 항만물류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간 반출입증 통합 발급 서비스'를 구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이달부터 1년 동안 부산 신항에서 일부 항만 물류업체를 대상으로 시범 실시된다.

서비스가 본격 실시되면 현재 1∼2일 걸리는 물량 확인시간과 1시간 정도 소요되는 운송과정 확인시간이 실시간으로 크게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타 부두 환적은 선박의 화물을 부두에 내린 후 다른 선박에 옮겨 싣고 출항하는 과정을 말한다.

부산항의 경우 환적 규모가 전 세계 1위 싱가포르에 이어 2위에 해당하고, 환적 화물을 다른 부두로 옮겨 출항하는 타 부두 환적(ITT·Internal Terminal Transportation)은 전체 환적 물동량의 16%에 이른다. 따라서 선사와 운송사, 터미널 운영사 등 항만물류 주체 간 원활한 정보공유가 중요하다.

현행 타 부두 환적은 선사가 대상 컨테이너 목록을 작성해 운송사에 제공하면, 배차계획이 세워져 터미널 운영사와 운송 기사에게 통보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무선이나 이메일, 팩스 등의 통신수단으로 정보를 전달하면서 데이터 누락이나 통신 오류로 인한 수정작업이 잦아 업무수행이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터미널 내 컨테이너 상·하차 위치를 알려주는 컨테이너 반출입증을 종이문서로 운전기사에게 발급하는 과정에서 터미널 게이트에 정차된 운송 차량으로 인해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불편이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 간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는 타 부두 환적 시 필요한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공유함으로써, 현행 컨테이너 환적 업무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전자 반출입증을 발급해 운송기사들이 실시간으로 배차 사실을 인지하고, 반출입 컨테이너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운송 업무의 편의성이 높아지게 된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