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지역 경제에 활력을] 배명직 기양금속공업 대표 “인재 육성 없이 뿌리산업 지속 어렵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표면처리 기술 개발 40년 외길 인생 산업 발전 자부심 있지만…“젊은이 찾지 않는 현실 안타까워”

대한민국 제1호 표면처리 명장이자 제8호 기능한국인. 사단법인 기능한국인회 회장, 대한민국 산업현장교수, 명장공방 특임교사. 셀 수 없이 많은 직함을 가진 배명직 기양금속공업 대표는 국내 표면처리기술 일인자로 꼽힌다. 19살에 도금공장에 취직해 27살에 창업을 한 뒤, 40여 년간 외길을 걸어온 그는 방산품 표면처리 기술 개발에 주력해 왔다. 녹록지 않은 경제 상황 속에서도 뿌리산업 장인의 자부심을 이어가고 있는 배 대표를 14일 반월산단 내 공장에서 만났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을 많이 받았다. 기술 특허도 상당하다. 도금에만 전념하는 모습을 보면 천직인 것 같은데, 어디가 그렇게 좋았나.

“좋고 나쁘고가 어딨나. 먹고살기 위해 했다. 시골 고등학교에서 화공과를 나왔고, 도금공장에 취업 나간 게 인연이 됐다. 일 배울 때는 셋째 주 일요일 하루만 쉬고 일했다. 주말 없이 날 새우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이후 명일금속이라는 가내공업부터 시작해서 1992년에 법인을 만들었다. 한평생 도금만 하다 보니 명장이 되고 기능한국인, 교수, 특임교사가 됐다. 지금은 각각 350평(1100여m⊃2;), 450평(1400여m⊃2;) 규모 공장에서 54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 민간 납품 대신 군납을 고수하고 있다. 사업을 더 확장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납을 고집하는 이유가 있나.

“자동차, IT 등 민수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면 제품과 기술개발에 소홀해질 수 있다. 그래서 인공위성, 레이더 등 방산제품에 들어가는 표면처리 기술 개발에 집중했다. 우리 공장은 니켈, 주석 등 16가지를 도금한다. 방산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설비를 다 갖추고 있어야 하는데, 국내에서 이런 종합도금 공장은 여기밖에 없다. 돈은 많이 못 벌어도 대한민국 방위산업에 기여했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

- 산업단지 내 도금업체들의 환경이 과거와는 많이 다를 것 같다.

“도금산업은 뿌리산업 중에서도 핵심이다. 도금 하면 천대시하는 분위기가 있지만, 나는 종합 예술이라고 말한다. 도금은 전기와 금속, 화공이 어우러지는 어려운 과정을 통해 완제품이 나온다. 제품을 보기 좋게 만들고, 오래 사용하게 하고, 단단하게 만드는 기술이 도금이다.

과거에는 공해나 안전에 대한 개념이 없었다. 가스를 뽑아내는 시설이 없어서 매일 코피가 나기도 했지만, 이제는 선진국화됐다. 현장에서 냄새를 맡으면서 일하는 건 말도 안 되고, 폐수도 사실상 완벽하게 처리해 물고기가 살 수 있을 정도다. 이제 도금은 환경 유해업이 아니라 청정 첨단산업이라고 생각한다.“

- 아직은 도금업이 낙후된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산업단지 또한 노후화가 가속화 중이다.

“우리 회사만 해도 20대 직원은 병역특례 받은 4명이 끝이다. 30대는 없고, 40대나 60대 고령자, 외국인뿐이다. 젊은이가 없다. 요즘에는 도공인을 키우기 위해 직접 교육시설을 만들고, 강의를 나가고 있다. 인재가 없다는 사실이 제일 안타깝다. 자금만 투입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인재 육성 없이는 뿌리산업은 지속할 수 없다.”

신보훈 (안산·시흥) 기자 bbang@ajunews.com

신보훈 bbang@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