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건설 경기 침체 장기화에...지난해 건설업 성장·수익성 지표 모두 '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지난해 건설업의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이익률 등 건설업계의 각종 경영 지표가 모두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건설업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성장성 지표인 건설업 매출액 증가율은 2022년 15.04%에서 지난해 4.76%로 10.28%포인트(p) 급락했다. 총자산 증가율은 전년 대비 2.9%p 하락한 7.99%에 그쳤다.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과 세전 순이익률도 2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2021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영업이익률은 2021년 6.2%에서 2022년 4.8%, 2023년 3.0%로 하락했고, 세전 순이익률은 2021년 7.3%, 2022년 5.4%, 2023년 3.4% 등으로 떨어졌다.

지속된 고금리로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비율)은 2022년 462.69%에서 지난해 197.63%로 급락했다.

수익성 악화는 건설업계 건전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사 등의 건전성 지표인 유동비율·차입금 의존도가 악화됐다. 건설업 유동비율(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은 2022년 155.50%에서 지난해 150.46%로 5.04%p 하락했다. 차입금 의존도는 같은 기간 25.87%에서 26.43%로 0.56%p 상승했다.

차입금 의존도의 상승은 차입금 평균 이자율의 상승과 맞물려 회사의 금융비용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해 건설업 차입금 평균 이자율은 4.79%로 전년 대비 1.24%p 상승했다. 이에 매출액 대비 금융 비용이 지난 2022년 1.03%에서 2023년 1.54%로 0.51%p 상승했다. 다만 부채비율은 2022년 122.64%에서 2023년 121.11%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경제=김윤섭 기자 angks678@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