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국가기록원·동북아역사재단 손잡고 일제 강제동원 실태 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지난 6월21일 재일동포 고(故) 김광렬(1927∼2015) 씨가 수집한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을 공개했다. 사진은 김 씨가 촬영한 아소(麻生)산업 건강보험대장. 아소(麻生)산업 건강보험대장은 학계 등에 한 번도 공개되지 않은 자료로 성명, 생년월일, 보험기호, 보험 취득·상실일 등을 포함하고 있다.(행정안전부 제공) 2018.6.21/뉴스1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과 동북아역사재단은 17일 국가기록원 서울기록관에서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진상 규명 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16일 밝혔다.

업무협약을 계기로 두 기관은 Δ동북아 역사 관련 기록의 공동연구, 전시, 교육 콘텐츠 개발 Δ기록의 수집·보존·활용 Δ기관의 정보·인력자원의 교류 등 동북아시아의 바른 역사 정립을 위한 교류·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협력의 시작으로 이날 협약식에서 국가기록원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자 99만4000명이 수록된 명부(629권) 사본을 동북아역사재단에 제공한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이 명부가 강제동원의 구체적 실태 규명과 일본의 역사왜곡을 바로잡을 수 있는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두 기관은 향후 남북평화 교류가 확대되면 강제동원 피해 실태에 대한 남북 공동조사 실시 등을 대비해 자료 수집과 연구 등을 공동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소연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관련 역사의 진실 규명과 동북아 역사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협력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jinn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