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자영업 폐업의 나비효과…서민금융회사부터 부실해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대부업 연체율 급등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상호금융, 대부업 등 서민들이 이용하는 금융회사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서민금융발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011년 발생한 대규모 저축은행 부실 사태까지는 아니더라도 경기 둔화와 기준금리 인상이 겹치면서 부실 가능성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금융감독당국도 이 같은 상황을 감지하고 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1~9월 저축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총여신 연체율은 4.6%로 전년 말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걱정되는 부분은 기업대출 연체율이 같은 기간 0.2%포인트 하락한 반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0.3%포인트 올랐다는 점이다. 특히 가계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모두 각각 0.5%포인트씩 연체율이 치솟았다.

A저축은행 대표이사는 "저축은행이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 채권을 분기마다 대거 상각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분기 말 연체율은 다소 왜곡된 측면이 있다"며 "9월 말 기준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이 6.5%로 집계됐지만 업계가 떠안은 실제 연체율은 두 자릿수가 넘는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과 함께 대표적인 서민금융회사로 꼽히는 신협의 상황도 비슷하다. 서울 시내 모 신협의 경우 2016년 말 3.76%이던 연체율이 올해 상반기에는 3배에 육박하는 9.04%까지 치솟았다. 인근의 다른 신협 또한 지난해 말 1.83%이던 연체율이 불과 6개월이 지난 6월 말에 4.08%로 뛰었다.

최근 극한 상황으로 내몰린 자영업자들도 서민금융회사의 부실을 심화시키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자영업종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면 올해 들어 자영업 점포당 평균 매출이 급감했다. 또한 실적 부진 영향으로 자영업종의 3분의 1이 휴업 또는 폐업 상태다. 이는 우리카드 222만개 가맹점 중 170만4000여 개를 자영업 집중 업종으로 재분류해 분석한 결과다. 이 같은 자영업체 수는 국세청이 집계한 '개인사업체' 숫자(213만6000여 개)의 80%에 달할 만큼 대표성을 지녔다.

구체적으로 자영업 가맹점의 총매출 증가율은 2014~2017년 평균 10.1%에 달했으나 올해 들어 2%로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꽃집 등 문화·취미(-4.8%) △미용실 등 개인서비스(-4.7%) △노래방 등 레저(-3.0%) △학원 등 교육(-1.9%) △모텔 등 숙박(-1.3%) 순으로 대부분의 업종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이들 업종에서는 휴·폐업 가맹점 수도 급격히 늘었다. 지난해 1~9월의 휴·폐업 현황과 비교했을 때, 미용실 등 개인서비스업체의 휴·폐업은 31.7%나 더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노래방·유흥업소, 화장품·의류판매업체의 업황 부진이 장기화 추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수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소비패턴 변화, 외식 소비 감소,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법인카드 지출 감소 등이 이들 업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자영업종 부진이 내년에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김 연구원은 "자영업자들이 본인 인건비 회수가 어려울 정도로 소득이 낮은 상황에서, 내년에 최저임금 인상의 효과가 쌓이면 휴·폐업 수가 더 늘어날 위험이 있다"며 "단기에 개선되기 어렵기 때문에 취약 업종 개인사업자 대출의 건전성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서민금융발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지난 5일 불법 사금융 명함과 전단지가 널려 있는 서울 중구 방산시장 골목을 시장 상인들이 왕래하고 있다. [김강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도 서민금융회사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신용대출보다는 부동산대출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 은행권과 달리 서민금융회사의 경우 담보로 잡고 있는 부동산이 취약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신협의 지난해 대출 현황을 보면 순수 신용대출은 6%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담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위험하다. 우량 담보자산인 아파트는 14%에 불과하고 70% 이상이 주택, 나대지, 상가건물, 전답 등을 담보로 대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올라 부동산 가격에 적신호가 켜지면 상가와 주택 가격이 제일 먼저 하락한다.

이재연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신협과 저축은행의 대출은 담보 구성에서 큰 차이가 없다"며 "2011년 정도로 큰 규모는 아니지만 서민금융발 위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민금융 부실 우려가 높아지면서 금융감독기관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최근 예금보험공사는 부실 우려가 있는 지방 저축은행 3~4곳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에 들어갔다. 모 저축은행의 경우 최근 대주주 변경을 통해 부실 우려를 낮췄으며, 부동산 부실이 심각한 다른 저축은행의 경우 대주주 증자를 유도하며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높이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승훈 기자 / 정주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