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북·미 고위급 회담, 중간선거 직후 실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ㆍ미 고위급 회담이 다음 달 6일 실시되는 미국 중간선거 직후 열리는 것으로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

이번 회담은 미국이 북한을 초대한 형식의 빈 실무협상이 사실상 무산된 가운데 양측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자리인 만큼 2차 북ㆍ미 정상회담과 비핵화 논의에 큰 물줄기가 잡힐지 이목이 쏠린다.

29일(현지시간) 워싱턴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북ㆍ미 고위급 회담이 11월 둘째 주, 즉 11ㆍ6 미국 중간선거 직후인 내주 후반부에 열리는 쪽으로 물밑 조율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전후가 유력하다는 평이다. 지난 19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의 고위급 회담 제의 이후 북한의 응답이 없자 이 역시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많았다.

외교소식통은 "이번 회담은 당초 10월 말쯤으로 추진되다가 미국 측 사정 등으로 며칠 늦춰졌으며 개최 일자가 잠정 합의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회담 장소는 미국 동부로 예상했다. 뉴욕이나 워싱턴DC일 가능성이 크다.

폼페이오 장관의 협상파트너는 이번에도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일 가능성이 크다. 김영철은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ㆍ미 정상회담 취소 발표 직후 뉴욕과 워싱턴DC를 방문하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북측이 협상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백두혈통이자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투입할 가능성을 제기해왔지만 가능성은 낮다. 소식통은 김 부부장의 방미 가능성에 대해서는 "너무 앞서나간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북ㆍ미의 만남 자체도 중요하지만 어떤 결과를 낼지가 중요하다.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ㆍ미 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 등 정상회담 준비와 함께 북한이 약속한 비핵화 조치와 그 이상을 요구하는 미국의 눈높이를 조율해야 한다. 최근 종전선언에 대한 집착에서 한발 물러선 듯한 북한은 경제 제재 완화를 끌어내는 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한 중인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도 한국 정부와 이와 관련한 협의를 진행갈 것으로 추정된다.

백종민 외교안보담당 선임기자 cinqang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