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미북 고위급회담 11·6 중간선거 직후 미국서 열릴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북한의 카운터파트가 만나는 미북고위급 회담이 11월 둘째주, 즉 11·6 미국 중간선거 직후인 내주 후반부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담은 폼페이오 장관이 지난 19일 '열흘쯤 뒤' '여기'에서 열리기를 매우 기대한다고 거론한 고위급 협상 채널로서, 한동안 답보상태인 듯했던 미북 간 빅딜 논의에 돌파구를 마련하는 동시에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미북정상회담 준비가 다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30일 미 상황에 밝은 한국의 한 외교소식통은 북미고위급 회담과 관련해 "폼페이오 장관이 언급했던 시점에는 10월 말쯤으로 추진되다가 미국 측 사정 등으로 며칠 늦춰졌으며, 일정에 대해 잠정합의된 것으로 안다"며 "장소는 미국 동부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다만 미북 간 협상의 특성상 날짜가 막판에 추가로 조정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회담 장소로는 뉴욕이나 워싱턴DC 등이 거론된다.

북한 측은 아직 미국에 구체적 명단을 전달하지 않았으나 폼페이오 장관의 협상 파트너는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미북고위급 회담에서는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 등 정상회담 준비와 함께 북한의 비핵화 초기 실행조치 및 미국의 상응 조치 문제 등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2차 미북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에 대해 이번 고위급 회담에서 어느 정도 윤곽이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아니라고 그 가능성을 차단한 가운데 유럽 등 중립적 제3국 개최 가능성 등이 거론됐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日언론 "김정은, 폼페이오에게 핵리스트 신고 거부" (도쿄 AP=연합뉴스) 지난 7일 북한을 방문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오른쪽)이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 함께 걸어가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15일 한미일 소식통을 인용, 김 위원장은 지난 7일 핵리스트 신고를 요구한 폼페이오 장관에게 거부 입장을 밝히고 대신 한국전쟁 종전 선언과 경제제재 해제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ymarsha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