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치매안심센터 인력 교육 부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치매국가책임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보건복지부와 광역치매센터가 치매안심센터 직원을 대상으로 각종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 교육 내용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직역별 전문 교육은 고사하고 기본공통교육도 다 받지 못한 채 치매안심센터에 배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게서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치매안심센터에 채용된 2923명 인력 중 11%는 기초공통교육을 받지 않고 현장에 배치됐고 28%는 직무기초공통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치매안심센터에 채용된 인력들은 광역치매센터를 통해 기초공통교육 과정을 수강하면서 치매 관련 기본 지식을 배우고 직무기초공통교육과 직무심화담당자 교육을 통해 치매안심센터의 구성과 치매조기검진, 치매상담업무 등 전문가 교육을 받고 있다.

복지부는 프로그램 내실화를 위해 치매안심센터 종사자 전문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사업 시행 6개월이 지나도록 기본적인 교육도 마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전문 인력 양성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사회복지사 등 직역별로 시행하고 있는 치매안심센터 인력대상 치매전문교육 역시 부실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대한간호협회를 통해 진행하고 있는 간호사 치매전문교육은 전체 채용인원 1573명 중 고작 249명(15.8%)만이 수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등 1053명을 대상으로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례관리심화과정 역시 고작 122명(11.6%)만이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치매환자나 가족들에게 일대일 맞춤형 상담과 검진 등 통합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치매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전문 인력 배치가 필수적임에도 인력양성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올 하반기까지 목표인원인 6000명의 신규인력을 확보하려면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