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新남방 시대, 교역 넘어 사람 중심 공동체 번영 이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리아헤럴드 첫 비즈포럼 성황

한-아세안 상호교역 작년 1500억弗

중국 이은 제2 교역 파트너로 주목

남북관계 이끌 ‘새로운 기회의 창’

헤럴드경제

“한국은 지금 50년 간의 고성장을 끝내고 저성장에 들어가는 구조적인 전환기에 놓여 있다. 한반도 역시 지난 70년간 냉전ㆍ대기구도를 끝내고 평화와 번영의 시대로 돌입하고 있다. 신남방정책을 통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인도지역에서 교역과 무역뿐 아니라 사람중심의 평화와 공동체 번영을 이뤄나가야 한다.”

김현철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위원장(청와대 경제보좌관)은 16일 코리아헤럴드가 서울 중구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아세안과 뉴 아시아’를 주제로 개최한 ‘코리아헤럴드 비즈 포럼’ 축사를 통해 “중국에 지금까지 25% 무역을 의존하면서 성장해 왔는데 앞으로 중국만한 시장을 아세안과 인도로 확보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신남방정책을 통해 2020년까지 아세안과의 교역규모를 중국 수준인 2000억달러(약 226조원) 수준으로 확대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구상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은 “신남방정책은 사람(People), 평화(Peace), 상생번영(Prosperity), 즉 3P 공동체 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며 “아세안은 북한 중립외교로 남북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국가들이다. 이들 국가는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패권국이 아니 중견국, 모범국으로 먼저 성장한 모델로 한국을 환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의 공동 주최로 참여한 한-아세안센터의 이혁 사무총장은 환영사에서 “아세안과 한국 간의 교류 협력은 그 어느 때보다 증가하고 있다”며 “아세안의 젊은 인구, 성장산업, 경제통합 노력 등을 고려할 때 협력 가능성은 아직도 무한하다”고 말했다.

실제 한-아세안 간 상호교역은 지난해 1500억달러(약 169조원)를 기록하며 아세안은 중국에 이은 제2 교역 파트너로 부상했다. 인적 교류도 활발해 지난해 1000만명에 이르는 양 지역 국민이 서로를 방문했다.

이 사무총장은 “한국과 아세안 간 경제적 상호보완성이 강력한 윈윈 포뮬라를 가능케 한 만큼, 남북한 관계변화 역시 새로운 기회의 창을 열어 줄 것”이라며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만들기 위한 여정에 아세안이 강력한 경제 파트너이자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날 강연은 신남방정책을 비롯해 아세안ㆍ인도 콘텐츠 시장, 남북 경제협력을 위한 싱가포르 역할, 아세안 투자 유의점 등 다양한 주제로 진행됐다.

첫번째 강연자로 나선 곽성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박사는 “문재인 정부의 대외경제정책 신남방정책은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처럼 지역 패권을 쥐겠다는 야욕이 아니라 같이 더불어 잘 살자는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한-아세안, 한-인도 관계를 미ㆍ중ㆍ일ㆍ러 4강과의 관계 수준만큼 격상하고 신흥국들을 보완적으로 엮어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평화체제가 구축된 한반도는 신남방정책과 신북방정책으로 개도국와 선진국을 연결하고 해양과 대륙을 연결해 남방과 북방의 교량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성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경제연구센터 연구원은 “아세안과 인도의 콘텐츠 시장 연평균 성장률이 8% 이상”이라며 “저작권 모델이 아닌 메신저 서비스 등 ‘콘텐츠IP 기반 산업’으로 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특별강연에서는 제프리 씨 조선익스체인지 설립자 겸 대표가 지난 10년간 싱가포르에 본부를 두고 북한인들에게 경제정책, 비즈니스 전략 및 기업가 정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느꼈던 실제 경험담을 들여주며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제프리 씨는 “북한 사람들은 비즈니스에 관심은 있었지만 상품 판매에 있어 마케팅이 왜 중요한지 이해하지 못했다”며 “북한 경제 발전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있는 만큼 싱가포르와 같은 중립적인 플랫폼이 남북 경제협력의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강연자인 정철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는 “아세안 국가들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 정도는 제각각 다르다”면서 “어느 한 지역에서의 경험이 다른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하면 역효과만 낳는다. 자의적 해석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행정기관과 접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현철 청와대 경제 보좌관(신남방정책특위 위원장)을 비롯해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김준동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등 정치권과 경제ㆍ외교ㆍ법조ㆍ학계 인사 등 2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