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충남도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본궤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성=김원준 기자】충남도가 '디스플레이 메카' 입지 강화를 위해 추진중인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다.

충남도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사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종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 내년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은 액정표시장치(LCD) 시장 주도권을 중국이 장악해 가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을 차세대 핵심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재편, 디스플레이 산업 세계 1위를 유지하기 위해 충남도와 산업부가 공동 기획했다.

이 사업은 내년부터 2025년까지 7년 동안 5281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혁신공정센터를 설립하고,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사업 목표는 △디스플레이 산업 혁신 인프라 및 생태계 구축 △융복합화를 통한 신시장 창출 △차세대 기술을 통한 초격차 확보 △혁신소재·공정을 통한 초저원가 실현 등으로 잡았다.

우선 혁신공정센터는 1651억 원을 투입, 천안에 위치한 충남테크노파크 내에 지상 4층, 연면적 1만 2913㎡ 규모로 건립한다. 이 센터에는 ‘이온도핑 증착기’ 등 61종의 장비를 설치, 장비·소재 기업 기술 테마 발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혁신기반(FIVid)을 위한 상생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R&D 분야에는 3630억 원을 투입해 ‘비진공 기반 플렉시블 OLED 봉지막 형성 장비’ 등 66개 연구 과제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초저원가 확보를 위한 공정방식 혁신 △혁신소재 및 공정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신시장 창출을 위한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충남도는 이번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경쟁국 대비 디스플레이 생산 격차 5년 △기술 격차 3년 이상 확보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산업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상용화 기반을 확보하고, 도내 219개 디스플레이 기업을 비롯한 국내 900여개 중견중소기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특허출원·등록을 통한 지식재산권 확보와 800여명의 직접 고용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예타 통과에 따라 산업부는 내년 사업비를 확보하고, 도는 지방비 및 국비 확보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사업을 수행하는 충남테크노파크와 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세부 사업 실행 계획서를 수립하고 사업추진단을 구성키로 했다.

남궁영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은 정부 산업 연구개발 분야로는 개도 이래 최대 성과”라면서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미래 핵심 기술 개발로 독점적 시장을 창출하고, 초격차·초저원가 실현으로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메카 충남’의 입지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