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국내 첫 반도체 실험실 창립 30돌 맞아…17일 기념 워크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ETRI 반도체 실험실의 반도체 소자분석 장비를 이용한 소자평가 [ETRI 제공=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산업의 쌀'로 불리는 반도체를 국내에서 처음 본격적으로 연구한 실험실이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16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따르면 반도체 실험실은 1988년 '실리콘 실험실'로 문을 연 이후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길을 개척했다.

개소 이듬해 삼성반도체통신, 금성반도체, 현대전자가 공동으로 참여해 국내 최초로 4M·16M·64M DRAM 개발에 성공했다.

1994년에는 국내 최초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개발하는 등 초고속 정보통신 분야 초석을 마련했다.

연합뉴스


반도체 실험실의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소자분석 [ETRI 제공=연합뉴스]



CDMA 단말기용 아날로그 주문형반도체, 광통신용 칩 같은 초고속 통신 부품,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온칩 역시 ETRI 반도체 실험실 연구진 손을 거쳤다.

2006년엔 세계 최초로 투명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기술을 구현했다.

컬러필터 없는 컬러 전자종이, 투과와 반사가 동시에 일어나는 디스플레이(LASA),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 등에도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연합뉴스


1989년 ETRI가 주관해 국내 3개 기업과 공동 개발한 국내 최초 4MDRAM 시제품 [ETRI 제공=연합뉴스]



주요 기술은 국내 기업에 이전돼 상용화 단계를 거쳤다. ICT 관련 대표적인 수출 효자 상품에 대부분 관여했다고 ETRI는 설명했다.

이를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직접 효과 48조원·간접 효과 15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ETRI는 분석했다.

17일 대전 유성구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는 '창립 30주년 기념 워크숍'을 한다.

지난해 1조원 클럽에 가입한 ETRI 동문 기업 AP시스템과 반도체 실험실 위상을 높인 알에프세미에 각각 감사패를 준다.

연합뉴스


광복70년 과학기술 대표성과 70선 선정 현판 [ETRI 제공=연합뉴스]



아울러 반도체공동연구소장인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차세대 반도체 기술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엄낙웅 ETRI ICT소재부품연구소장은 "앞으로도 반도체 실험실이 대한민국 ICT 산업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walde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