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채권-장전] 주식발 혼란 겪은 뒤 맞이한 금통위 주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금융신문 장태민 기자] 채권시장이 15일 외국인과 주식시장 동향 등을 주시하면서 등락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번주 금통위의 금리결정이 대기한 가운데 입찰 결과 등을 주시하면서 분위기를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금요일 국내 주식시장이 반등에 성공한 가운데 뉴욕 주가도 회복했다. 연이틀 폭락했던 주가가 반등에 성공하자 미국채 금리는 약세를 나타냈다.

코스콤 CHECK(3931)를 보면 미국채10년물 수익률은 1.15bp 오른 3.1619%, 국채30년물 금리는 1.43bp 상승한 3.3384%를 기록했다. 국채5년물은 1.22bp 반등한 3.0149%, 국채2년물은 0.79bp 내린 2.8487%를 나타냈다.

이틀간 대폭 하락했던 뉴욕 주요 주가지수는 1~2% 반등했다. 다우지수는 287.16p(1.15%) 오른 2만5339.99, S&P500지수 38.76p(1.42%) 상승한 2767.13에 거래됐다. 나스닥은 167.83p(2.29%) 높아진 7496.89를 나타냈다.

뉴욕 주가지수들은 수요일 3~4%, 목요일 1~2% 급락 이후 금요일엔 1~2% 수준으로 오른 것이다. 최근 주가 폭락에 따른 과매도 심리와 양호한 은행주 실적 등이 지수 반등을 이끌었다.

미국의 수입물가는 예상보다 많이 올랐다. 노동부는 9월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0.5% 상승했다고 밝혀 예상치(0.2%)를 크게 웃돌았다. 전년비 수입물가는 3.5% 올라 직전월(3.8%)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미국의 소비심리는 예상과 달리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대가 잠정 집계한 10월 소비심리지수는 99.0으로 전월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100.4)를 밑도는 것이었다.

위험자산 매수 분위기가 살아나면서 유가도 반등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37센트(0.52%) 오른 배럴당 71.34달러에 장을 마쳤다. 다만 IEA가 원유공급이 충분한 가운데 수요가 약해질 것이란 관점을 보이면서 반등폭은 제한됐다.

달러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는 95.28로 전장보다 0.25% 상승했다. 유로/달러는 2주래 최고치에서 하락했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유로존 기저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오를 듯하다"고 밝혀 인플레이션에 대한 자신감을 이전보다 누그러뜨렸다. 달러화는 또 신흥국 통화에 대해 대체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주 뉴욕 주가 폭락 사태는 올해 2월 당시의 금리에 대한 부담을 재인식시킨 것으로 보인다. 금리 레벨이 한 단계 더 높아질수록 위험자산에 대한 부담과 경기둔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것이 확인된 셈이다.

국내금융시장은 계속해서 미국 금융시장 상황을 주시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아울러 지난 금요일 먼저 반등에 성공한 국내 코스피지수의 회복 탄력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코스지지수는 일단 많은 사람들이 지지선으로 봤던 2100선 위에선 반등에 성공했다. 무엇보다 8일 연속으로 국내 주식을 팔던 외국인이 매수로 나오면서 분위기를 추스렸다. 외국인 매매 동향 등을 보면서 분위기를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중 무역분쟁, 미국의 환율보고서, 연준의 9월 회의 의사록에 국내 금통위의 금리결정이 대기하고 있어 변동성 장세에 대한 경계감을 늦추기 어렵다.

국내 채권시장은 이번주 금통위의 금리인상 여부에 초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부 관계자들과 이주열 총재가 금리인상을 지지하는 듯한 발언을 한 뒤 과연 금리가 인상될 수 있을지 관심이 높아져 있다.

금요일 발표됐던 9월 고용지표에서 취업자수는 4만 5천명 늘어난 것으로 발표됐다. 7월과 8월 취업자 증가지수가 5천명, 3천명 수준에 그쳤던 점에 비춰 최악은 면한 것이다. 시장에서 '마이너스'까지 고려됐던 상황임을 감안하면 고용지표가 좋지는 않지만, 선방한 느낌마저 줬다.

한은 총재는 최근 계속해서 '금융불균형' 시정에 무게를 둔 발언을 이어갔다. 지난주 주식시장이 크게 흔들리긴 했으나 이런 발언을 감안할 때 금리가 인상될지 여부를 놓고 궁금증이 커져 있다.

다만 10월이나 11월 금리이상 뒤 상당기간 금리동결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인식도 강한 편이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