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2018국감]'금품수수'로 징계받은 세무공무원 5년간 198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품수수로 매년 33명 징계, 연 11.5명 공직추방

세무당국 ‘제식구 감싸기’ 논란, 외부 적발 많아

이원욱 의원 "국세청, 국민신뢰 잃지 않도록 기강확립해야"

[세종=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최근 5년간 금품수수, 기강위반 등 크고 작은 비위를 저질러 징계를 받은 국세청 직원들이 수백 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세무공무원들의 스스로 높은 공직윤리와 기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이원욱 의원(더불어민주당, 화성을)이 공개한 ‘국세공무원 징계 현황’에 따르면 2013~2018년 상반기까지 국세청 소속 공무원 가운데 총 649명이 각종 징계를 받았다.

징계 사유를 보면 기강위반이 395명으로 가장 많았다. 금품수수(198명), 업무소홀(56명)이 뒤를 이었다.

금품수수로 징계를 받은 이들 가운데 69명이 파면·해임·면직 등으로 옷을 벗었다. 금품수수로 인해 매년 11.5명이 공직에서 추방당하고 있는 것이다.

공직에서 추방된 이들 중징계 대상자 가운데 62명은 검찰이나 경찰을 비롯한 수사당국 등 외부에서 적발된 것으로 분석됐다. 내부적발은 단 7명에 불과했다.

징계를 받은 세무공무원에게 부과 된 징계부가금은 △2013년 43건 7800만원 △2014년 45건 6800만원 △2015년 22건 5200만원 △2016년 14건 3000만원 △2017년 6건 8600만원 △2018년 6월까지 4건 100만원이 부과됐다.

이원욱 의원은 “세무당국의 금품수수로 비리가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면서 “특히 내부 자체 적발 보다는 외부적발 사례가 더 많아 세무당국의 ‘제식구감싸기’ 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비위적발 시 엄중한 처벌과 교육으로 일벌백계하는 국세청의 자기반성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이원욱 의원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