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김성태 "청와대, 검·경, 국정원 특활비 예산도 개선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자유한국당 김성태(사진) 원내대표는 14일 특수활동비 문제와 관련 “이참에 청와대는 물론이고 검찰이나 경찰, 국가정보원 등 사정기관의 깜깜이 예산 문제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tbs 라디오 ‘김종배의 색다른 시선’에 출연한 자리에서 “특활비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정원을 제외하고도 올해 각 기관 특활비가 3000억원에 달한다”며 “이런 특활비 문제의 전반적 개혁을 위해 국회가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국회가 선제적 입장으로 특활비 기득권을 내려놓은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여야 원내대표는 현재 국회가 사용하는 특수활동비 중 교섭단체 몫 특활비를 폐지하는데에 합의했다.

김 원내대표는 바른미래당이 이를 두고 “국회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단 특활비 폐지는 제외됐다”며 강력히 반발하는 것에 “특활비를 완전히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은 확고하다”면서 “국회의장단이나 상임위원장들 특활비 문제는 전적으로 국회의장의 권한”이라고 지적했다. 국회의장단이나 상임위원장단은 국회 본회의에서 선출하는 만큼 이들에게 지급되는 특활비 폐지여부는 문희상 국회의장이 결정해야 할 일이라는 논리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16일로 예정된 여야 원내대표 오찬회동과 관련 “우리나라 외교, 안보, 경제의 모든 부분이 절체절명 위기에 빠져있는 상황에서 협치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점을 문재인 대통령께서 깨달을 수 있도록 그 내용을 중심으로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며 “‘소득주도성장론’이 지금 대한민국 모든 문제 만병의 근원이다. 과감하게 고쳐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김 원내대표는 “소득주도성장론이나 탈원전 정책을 비롯해 이 정권에 실패한 정책이 국민들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대한민국 경제, 국민 삶이 이렇게 힘들어진다면 책임을 묻는게 맞다”며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등 청와대 경제라인 교체를 언급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