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한전 3분기 연속 적자, 탈원전 정책 탓?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전 점검 강화로 가동률 감소

국제 연료비 상승 탓 비용 추가

하반기 원전 가동률 회복 전망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력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까지 3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국제적으로 연료비가 상승하는 가운데 잇단 안전점검으로 원전 가동률이 감소한 게 주원인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탈원전 정책’ 여파로 실적이 악화됐다는 주장에 대해 ‘일시적 현상’이라며 선을 그었다.

한전은 작년 4분기(-1294억원)와 올해 1분기(-1276억원)에 이어 올해 2분기에도 6871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1~3분기 분기별로 작게는 8465억원에서 크게는 2조7729억원까지 흑자를 냈던 것과 대조적이다.

3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한 가장 큰 이유는 국제적으로 연료비 가격이 크게 인상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4분기 연료비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는 유류 가격은 배럴당 59.5달러에서 올해 2분기 72.7달러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액화천연가스(LNG)는 기가줄(GJ)당 12.1달러에서 13달러로, 유연탄은 t당 98.7달러에서 105.1달러로 각각 올랐다.

또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안전점검이 과거보다 꼼꼼해졌다. 이 영향을 받아 일부 원전 가동이 일시 중단되면서 대체연료 조달 차원에서 가격이 비싼 LNG 구매량이 늘어났다. 전기 판매가격은 고정돼 있는데 원료비가 상승하다보니 손실이 점점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2016년 9월 경주 지진 등으로 원전 안전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당국의 관리·감독 강화를 마냥 비난하기는 어렵다. 정부 당국자는 “원안위 점검 대상은 원전 격납건물 철판 부식과 콘크리트 내 이물질 혼입 등 부실시공이 문제가 된 곳”이라면서 “원전 점검기간 LNG나 석탄 발전을 활용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올해 3분기에는 원전 가동률이 제자리를 찾고 여름철 전력수요가 증가해 경영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다. 원전 가동률은 1분기 55%, 2분기 63%에서 하반기에는 7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3분기 실적은 여름철 냉방수요로 인한 판매량 증가와 높은 판매단가가 적용되는 계절별 차등 요금체계 영향으로 가장 높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한다”고 말했다.

다만 지난 7일 정부가 발표한 ‘여름철 전기요금 할인대책’에 따라 2761억원의 인하액을 한전이 짊어지게 된 게 변수다. 이와 관련, 정부는 국회에서 이번 폭염을 재난으로 간주하는 법안이 통과되면 예비비 등을 활용해 한전에 재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약속한 상태다.

<구교형 기자 wassup01@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