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음식점 위생등급제 시행 1년, 전북지역 인증업체 단 15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북=뉴시스】강명수 기자 = 일반음식점의 위생수준 향상과 식중독 예방 등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제도'가 유독 전북지역에서 헛돌고 있다.

특히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제도가 시행된지 1년이 넘어섰지만 전북지역 음식점들의 동참이 많지 않아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해 보인다.

13일 전주시와 익산시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5월부터 일반음식점들의 위생환경 개선을 위해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는 객실, 조리장, 개인위생 등 위생수준이 우수한 음식점에 대해 '매우우수', '우수', '좋음' 3단계 등급을 지정한다.

위생등급 지정업소는 2년간 출입·검사면제, 위생등급표지판, 식품진흥기금 우선 융자지원, 홍보지원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그러나 전북지역에서는 이 제도 시행이 1년이 지났음에도 인증을 취득하는 음식점이 전국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8월 현재 전국 1300여개 음식점들이 인증을 획득한 반면 전북지역에서는 15개 음식점이 인증을 획득한 것이 고작이다.

이 중 전주지역이 5곳, 군산 3곳, 고창군 2곳, 남원 2곳, 익산·무주·임실지역에서는 각각 1곳씩이 획득했다.

이 같은 인증 취득 상태에 대해 자치단체들의 적극적인 홍보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정수 전북도의회 의원은 "음식업소의 위생환경 개선은 결국 도민들의 건강권과도 직결된다"며 "지역 관광 및 음식문화 활성화를 위한 행정의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위생등급 지정을 위한 사전 컨설팅 등을 진행하고 있지만 기준이 워낙 까다로워 중도에 포기하는 분들이 많다"면서 "업소에 우편물을 보내고 음식업협회 등을 통해 독려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익산시 관계자는 “위생등급 지정제도가 강제적 규제사항이 아니고 영세한 식당이 많아 신청이 저조한 것이 사실”이라며 “이달 중 모범음식점들을 방문해 참여를 독려하려 한다”고 말했다.

smister@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