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3차 정상회담 장소는 평양…시기는 南 '8말', 北 '9초' 원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정원-통전부 물밑 협의로 큰 틀 합의…오늘 판문점 고위급회담에서 최종 확정

아시아경제

13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고위급회담에서 우리측 수석대표 조명균 통일부 장관(오른쪽)과 북측 수석대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이설 기자, 공동취재단] 남북이 3차 정상회담을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사실상 합의했으며 개최 시기는 조율 중인 것으로 13일 알려졌다.

청와대와 외교 당국 관계자들에 따르면 남북은 국가정보원과 통일전선부 라인을 가동해 회담 장소와 일정 등과 관련해 큰 틀의 합의를 봤다. 회담 장소는 판문점 선언에 명시된 대로 평양에서 개최하는데 이견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기는 남측은 8월 말을 원하지만 정상회담을 개최해야 하는 북측은 준비 상황 등을 이유로 8월 말은 너무 촉박하다며 확답을 주지 않았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북한 비핵화 과정을 둘러싸고 북·미 간에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참모들에게 “8월 말도 가을이 아니냐”고 언급하면서 남북정상회담 조기 개최 필요성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역시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인 9·9절 전에는 3차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 3차 정상회담이 늦어도 9월 첫째 주에는 열릴 것으로 보인다.

3차 남북정상회담 장소와 날짜, 방북단 규모 등은 13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리는 고위급회담에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각각 이끄는 남북 대표단은 이날 오전 10시 올해 들어 4번째 고위급 회담을 시작했다.

북측 수석 대표인 리 위원장은 이날 회담 모두 발언을 통해 "북남 수뇌분들이 평양 상봉이 또 진행되고 있는 만큼 이 문제를 논의하면 앞으로 민족이 바라는, 또 소망하는 문제들에 확답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된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회담도 잘 진행해서 민족에게 좋은 결과물을 알려주자는 의미에서 이번 회담에 임하자고 한다"고 말했다.

남측 수석 대표인 조 장관은 "서로 같은 마음으로 해 나가는 게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낀다"며 "오늘 회담에서도 제기되는 많은 문제가 있을 것인데 그런 마음으로 해 나가면 못 풀 문제가 뭐 있느냐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13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이야기를 나누며 회담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남북고위급회담에서는 4·27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남북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 그리고 방북단의 규모 등이 합의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판문점 선언에는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가을 평양을 방문하기로 하였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김 대변인이 ‘방북단’이라고 언급하자 기자들이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린다는 의미냐고 되물었다.

이에 김 대변인은 “제가 지난번(10일 오전)에 ‘평양이 기본이지만 평양만이라고 하기에는 어렵다’는 취지의 말씀을 드렸는데 그것은 원론적으로 말씀을 드린 것”이라며 “너무 평양이 아닌 제3의 장소로 (언론이) 해석들을 많이 해 제가 좀 부담스러웠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 10일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이왕 하는 것 평양에서 하자고 할 것”이라며 “우리가 먼저 판문점에서 하자고 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이날 고위급 회담에서 평양 개최를 최종 합의하면 2007년 10월 노무현 대통령 방북 이후 11년 만에 한국 대통령의 평양 방문이 가시화된다.

문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게 되면 판문점 선언에 포함된 또 다른 합의 사항인 ‘올해 안 종전 선언’을 이행할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하게 된다.

남북은 고위급 회담에서 판문점 선언 이행 상황도 점검할 계획이다.

북측은 대표단에 김윤혁 철도성 부상과 박호영 국토환경보호성 부상,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포진시켰다.

북한 철도·도로 현대화 등 경제협력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회담에서는 또 개성공단에 설치하기로 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일정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남측은 17일에 사무소를 여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이보다는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연락사무소를 대북제재의 예외로 인정하는 문제에 대해 미국과의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은 데다 남북 간에도 사무소 구성·운영 등을 놓고 논의할 사항이 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밖에 북측 예술단의 '가을이 왔다' 서울 공연 일정과 역시 가을에 서울에서 열기로 한 통일농구대회 일정 등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이설 기자 sseo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