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문 대통령-푸틴, 동북아 평화에 공감대…경협 대폭 늘리기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러시아, 우리 정부 외교안보 정책의 중요한 축" - 경협 거듭 강조…대북제재 해제 이후 내다본 듯 - 러시아와 서비스·투자 분야 FTA 협상 개시, 조선·의료·혁신 사업 등에서 협력 확대키로

CBS노컷뉴스 강혜인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서비스·투자 분야 한러 FTA 협상 개시를 위한 국내 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 한러 두 정상은 한국-러시아-유럽을 잇는 철도 사업에 대한 공동연구도 추진키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무엇보다 경제협력 성과에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비핵화 이후 대북 제재가 해제되면, 그 이후 찾아올 대북 경협 시대를 대비한 사전준비 작업으로도 읽힌다. 두 정상은 한반도,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를 위한 공동 노력을 계속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2박 4일 일정으로 러시아를 국빈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합의문에 서명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이 서비스·투자 분야 FTA 협상 개시를 위한 국내 절차에 착수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철도와 전력, 가스에 대해서는 공동 연구에 착수키로 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러시아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 세 사업에 대해 강조하면서 철도의 경우 한국과 러시아, 유럽까지를 연결하는 철도망 구축, 러시아의 천연 가스를 북한과 한국으로 가져올 수 있는 가스관 연결에 대한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양국은 ''한러 철도공사 간 협력 MOU'에 서명하고 철도 및 물류분야 사업 공동개발, 남북러 3자 프로젝트에 대비한 연구, 해외 시장·제3국에서의 협력 추진 등에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러 3각 협력 사업을 대비해 한러 양국이 우선 할 수 있는 사업을 착실히 추진하기로 했다"며 "철도, 전력망, 가스관 연결에 대한 공동연구가 그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두 정상은 의료 보건 분야 협력 확대, ICT응용기술 협력 확대 등에 대해서도 합의했다. 모스크바에 한국형 종합병원이 개원하고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미래형 의료 협력도 곧 시작된다.

혁신 기술 협력 증가 차원에서 한국에 '한러 혁신센터'가 설립되고, 모스크바에 이미 있는 '한러 과기협력센터'는 확대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동방경제포럼에서 밝힌 비전인 '9개 다리' 구상에 대해서는 '9개 다리 행동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확대정상회담에서는 푸틴 대통령에게 모두발언을 통해 "한러는 서로에게 최적의 실질적 협력 파트너"라고도 했다. 그는 "한반도와 유라시아가 함께 평화와 번영을 누리도록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4.27 판문점 선언 채택을 환영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공동 노력을 계속 하기로 했다. 한반도 평화와 나아가 동북아 평화에 대한 공감대를 이룬 것이다.

푸틴 대통령은 문 대통령을 오는 9월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공식 초청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빠른 시간 내에 답을 주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 내외는 이날 정상회담을 마친 후 푸틴 대통령과 국빈 만찬에 참석해 "러시아 양국 국민이 한층 더 가깝고, 함께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자"고 만찬사를 했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지각대장'이라는 별명 답게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50분 가량 늦어 문 대통령을 기다리게 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