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각시만 꺼낼 수 있나" 화마 덮친 군산주점 의인 임기영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화재 알자마자 신속 대응해 사망자 줄여 "주점 부부와는 친형제·자매 같은 사이"

중앙일보

지난 18일 전북 군산시 장미동 한 주점에서 합동감식반이 현장 감식을 하고 있다. 전날 오후 9시 50분쯤 이모(55)씨가 주점에 불을 질러 3명이 숨지고, 3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술값 10만원 때문에 주점에 불 지른 방화범


50대 방화범은 휘발유에 불을 붙이기 전 주점 출입문에 걸레 자루를 걸고 비닐봉투로 두 번 묶었다. 불길에 휩싸인 주점 안은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유독가스와 시커먼 연기가 삽시간에 퍼지자 사람들은 혼비백산했다. 불바다가 된 주 출입구 대신 반대편에 있는 무대 옆 좁은 비상구로 몰렸다.

'병목 현상' 탓에 사람들은 서로 뒤엉켜 쓰러졌다. 유독 가스와 연기를 들이마셔 의식을 잃어갔다. 그 순간 유일한 탈출구인 비상구 문이 밖에서 열렸다. 그리고 누군가 비상구 안쪽에 쓰러진 사람들을 바깥으로 끄집어내기 시작했다. 모여든 다른 이들도 손길을 보탰다. 이윽고 119 소방대원과 구급대원들이 도착했다. 33명의 사상자를 낸 전북 군산 주점 방화 사건의 전말이다.

중앙일보

군산 주점에 불을 질러 33명의 사상자를 낸 혐의로 경찰에 긴급체포된 이모(55)씨.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불바다 속 '유일한 탈출구' 열어준 화물차 기사


선원 이모(55)씨는 지난 17일 오후 9시 50분쯤 군산시 장미동의 한 라이브카페(유흥주점)에 불을 질러 3명을 숨지게 하고, 30명을 다치게 했다. 경찰은 현주건조물 방화치사상 혐의로 이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이씨는 경찰에서 "외상값이 10만원 있었는데 주점 주인이 20만원을 달라고 해서 화가 나 불을 질렀다"고 말했다.

그나마 화마가 덮치자마자 누군가 신속히 주점 비상구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면, 사망자는 훨씬 늘어났을 것이라는 게 소방 당국의 분석이다. 그 '누군가'는 군산시 경암동에 사는 화물차 기사 임기영(68)씨다. 불이 난 당시 가게 근처에 있던 그는 불길이 심한 정문을 피해 카센터에 연결된 주점 비상구 문을 제일 먼저 열었다. 평소 주점 주인 부부와 친해 건물 구조를 잘 알고 있던 덕이었다. 주점 안에 있던 아내 김모(62)씨가 걱정돼 한 행동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아내를 포함해 7명 이상을 구했다. 유우종 군산소방서장은 "당시 주점 비상구 문을 연 건 임씨가 최초"라며 "임씨가 비상구 쪽에서 (밖으로) 못 나온 사람 7명을 구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주위에서는 임씨를 '의인'이라 부른다. 하지만 정작 그는 "여러 주민들이 협조해서 구했다"며 쑥스러워했다.

중앙일보

조종묵 소방청장(노란 점퍼)이 18일 오후 전북 군산 유흥주점 방화 사건 현장을 방문해 중앙합동조사단에 철저한 조사를 당부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각시 구하려다 다른 사람들도 구했죠"


임씨는 21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각시 꺼내려는 욕심에 (주점) 뒷문을 열고 (사람들을) 꺼냈다"고 말했다. 그의 아내 김씨는 얼굴과 팔 등에 화상을 입고 현재 전남대병원 중환자실에 누워 있다. 임씨 부부와 불이 난 주점을 운영하던 송모(54)씨·전모(55·여)씨 부부는 20년 전부터 친형제·자매처럼 지내온 사이다. 사건 당일도 두 부부는 주점 인근 커피숍에서 함께 커피를 마셨다. 임씨 아내만 사건 발생 40분 전 주점 여주인을 따라 가게에 들어갔다 봉변을 당했다.

임씨에 따르면 조선대병원에 입원한 주점 부부 중 남편 송씨는 겨우 의식이 깨어났으나, 아내 전씨는 위독한 상태다. 임씨는 "우리 각시도 억울하지만 (주점 부부도) 저렇게 돼 마음이 아프다"며 한숨을 쉬었다.

다음은 임씨와 일문일답.

-불이 난 당시 상황은 어땠나.

"당시 주점에서 5m 떨어진 곳에 서 있었다. 불이 나서 갔더니 입구가 (불길에 휩싸여) 들어가질 못하게 생겼다. (주점) 뒤로 가서 문을 열고 사람을 꺼냈다. (비상구 문을) 여니 다 쓰러져 있었다. (그런 사람들을) 보고 가만히 있을 순 없지 않느냐. 꺼내다 보니 각시도 구했다. (아내는) 다섯째로 나왔다."

-몇 명을 구했나.

"초기엔 다섯 명을 꺼냈지만, 다들 협력해서 꺼내 몇 명이라고 말할 수 없다. (주점 안에 쓰러져 있던 사람들은) 어차피 자기 발로 못 나오고, 나와서도 움직이지도 못했다. 내가 구했다기보다 여러 사람들이 협조해서 구했다. 나도 꺼내고, 다른 사람들도 꺼냈다. 혼자서 큰 길까지 10m를 못 끌고 가지 않느냐. 소방관도, 주민들도 구했다. 119와 경찰 순찰차도 (환자를) 옮기고, 개인 승용차와 택시, 시내버스도 옮겼다."

중앙일보

송하진 전북도지사(가운데)가 19일 전북 군산시 장미동 유흥주점 화재 현장을 찾아 전북소방본부 관계자의 보고를 받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의인'이라 부른다.

"각시 꺼내려는 욕심에 (주점) 뒷문을 열고 꺼낸 거다. (아내가) 없으니 위부터 꺼내야지. 그래야 밑에 깔린 사람을 찾을 것 아닌가. 사람들이 서로 밖으로 빠져 나오려고 엎치락뒤치락하다 보니 겹쳐 있었다. 대부분 기절한 상태였다. (밖으로) 꺼냈을 땐 신음 소리만 하고 아무 반응도 없었다. 거의 죽은 목숨과 같았다. 사람이 처지니 무거워서 혼자는 도저히 못 든다. 여럿이 도왔다."

-방화범은 봤나.

"석유를 찌끄리는(붓는) 건 못 보고 (한 남성이) 세차장 쪽으로 뛰어가는 건 봤다. 나중에 들으니 '그놈'이 불을 질렀다고 들었다."

-아내와는 왜 같이 술을 안 마셨나.

"나는 술을 아예 못한다. 각시도 술 먹으러 (주점에) 들어간 게 아니다. (주점) 사모(여주인)와 친자매처럼 지낸다. 근처 다방에서 커피 한 잔 마시고 (주점 여주인을) 따라 들어갔다 40분 만에 (방화 사건이) 터진 거다. 그래서 내가 더 억울하다."

-아내 몸은 좀 어떤가.

"오늘 병문안을 다녀왔다. 팔뚝을 붕대로 싸매 놓고, 얼굴도 부분적으로 싸매놨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는데, 유독 가스와 연기를 많이 마셔 폐에 그을음이 꼈다. 병원에선 '패혈증이 생길 수 있다'고 한다. 의식은 좀 돌아왔는데, 자가 호흡을 못하고 산소호흡기에 의지하고 있다. 범인이 한 짓이 너무 괘씸하다."

중앙일보

18일 전북 군산시 장미동 유흥주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반이 현장 감식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점 부부와는 평소 잘 알던 사이인가.

"(부부끼리) 20년 전부터 절친한 선·후배다. 지금은 내 것, 네 것 먹는 게 아니라 (서로) 입에서 빼먹을 정도로 형제간처럼 지낸다. 모임도 같이 하고, 쉬는 날 놀러도 간다. (불이 난) 그날도 일요일이어서 싸드락싸드락(시위적시위적) 주점에 간 거다. (두 부부가) 커피숍에서 커피 한 잔 마시고, 커피숍이 문을 닫으니 아내가 사모(주점 여주인)와 같이 간 거다. 나는 더워서 (주점) 밖에 있었다."

-주점 부부의 몸 상태는 어떤가.

"(남편) 송씨는 의식이 좀 깨어났는데, (아내 전씨는) 화상도 입었지만 자가 호흡이 불가능해 생사가 불투명하다. 마음이 아프다."

중앙일보

지난 17일 불이 난 전북 군산시 장미동 유흥주점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재 당시 비상구 앞을 쇳덩이가 막고 있었다는 주장도 있는데.

"제가 열 땐 아무것도 없었다. 그러니 문이 열리지 않았겠나."

군산소방서와 군산경찰서에 따르면 해당 주점에서 카센터 쪽으로 난 비상구에서 1.2m 떨어진 위치에 차량 수리용 리프트가 있었다. 유우종 군산소방서장은 "화재 당시 카센터 쪽 비상구 문을 여는 데 아무 지장이 없었고, '비상구 앞을 쇳덩이가 막고 있었다'는 주장은 주점 안에 쓰러진 사람들을 밖으로 옮기는 데 리프트가 방해돼 장비 일부를 뜯어내 치운 게 와전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소방 당국의 조치는 어땠다고 보나.

"잘했다. 죽은 사람이 별로 없지 않나. 제천 화재와 비슷한데, (불이 난) 주점 건물이 1층에 있어서 사람들을 빨리 구할 수 있었다."

군산=김준희 기자 kim.junhe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