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말빛 발견] 늙은이 ‘옹’/이경우 어문팀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이경우 어문팀장


인쇄매체에 주로 보이던 ‘옹’은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다. ‘옹’은 방언처럼 숨을 쉰다. 간혹 보이는 건 누군가 방언을 쓴 것이고, ‘걸러지지’ 않은 말일 가능성이 높다.

매체들은 독자들에게 ‘친근함’을 나타내고 싶었다. ‘옹’은 친근하지 않았다. 말 자체도 어려워 보이는 데다 가깝지 않고 멀리 있다는 분위기를 남겼다. 상대를 정중하게 대해야 한다는 암시도 줬다.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옹’은 구석 깊숙이 있는 말이 돼 갔다.

‘옹’은 사회적으로 존경받고 나이가 많은 사람의 성명 뒤에 붙였었다. 그 사람을 높이는 구실을 한 것이다. 그렇게 박완서의 소설 ‘오만과 몽상’에도 보인다. “짧은 기사는 ‘독립 유공자 강봉수 옹 별세’라는 제목으로 시작해서….” 우리나라 사람에게만 붙인 것이 아니라 좀 낯설지만 외국인에게도 붙였었다. ‘피카소옹’, ‘간디옹’, ‘사르트르옹’이라고.

‘존경’의 의미가 조금 바랬을 때 매체들은 ‘옹’ 대신 ‘할아버지’를 썼다. 친근하게 다가가서 독자를 더 끌어들이겠다는 속내가 있었다. 받아들이는 쪽에서도 불편해하지 않았다. 반대일 때가 많았다. 그러나 오래가지 않았다. 자기 이름 뒤에 ‘할아버지’가 붙는 게 불편해졌다.

이제 그 자리를 ‘공평’해 보이는 ‘씨’가 차지한다. 언론매체에서 ‘씨’는 존칭이라기보다 ‘성인임을 나타내는 말’의 의미로 주로 쓰인다.

wlee@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