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安 ‘조급증’, 최대 리스크”..바른미래당 워크숍서 쏟아진 쓴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일 경기 양평 용문산서 1박2일 워크숍

이종훈 정치평론가 "급조 통합, 패배 주원인"

밤늦게까지 난상토론 이어갈 예정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임현영 기자] “바른미래당의 최대 리스크는 안철수” “작은 살림에 무슨 계파 싸움이냐”

6·13 지방선거에 참패한 바른미래당이 19일부터 이틀간 경기 양평 용문산 캠핑장으로 워크숍을 떠났다. 광역단체장·국회의원 재보선 선거 등에서 ‘0석’의 굴욕을 맛본 바른미래당이 선거 후폭풍을 수습하기 위해 마련했다. 아울러 아직 이질감이 느껴지는 국민·바른정당 출신 의원들끼리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이다.

김동철 바른미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용문산 풍경이 눈에 들어 오지 않을 정도로 마음이 무겁고 착잡하다”고 운을 뗐다. 이어 “지금은 참담하지만 상대를 존중하고 당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자세에서 출발한다면 분명 좋은 미래가 열릴 것”이라고 ‘화합’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체성 확립 △정부·여당과의 관계설정 △타 야당과의 관계설정 등을 위주로 토론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생각이 다르더라도 자주 접촉하고 음식이라도 나누자”며 매주 수요일 정례적인 ‘의원 오찬’을 갖기로 했다.

가장 먼저 마이크를 넘겨받은 이종훈 정치평론가의 쓴소리가 쏟아졌다.

자신을 ‘중도보수’라고 소개한 그는 지방선거 패배 요인으로 ‘급조된 통합’을 꼽았다. 이 평론가는 “통합해도 이런 식으로 하면 안된다. 필요에 의해 급조하다보니 당연히 융합이 되지 않았다”며 “출발부터 길을 잘못들었다”고 꼬집었다.

안철수 전 대표의 ‘조급증’ 역시 “바른미래당의 최대 리스크로 발전했다”고 직격했다. “차기 대권으로 가기 위해 서울시장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강박이 작용했다”며 “그렇게 무리해서 서울시장에 출마했다면 대권주자 급의 확고한 국가비전 보여줬어야 했다”고 거듭 일침했다.

이 평론가는 “(국민·바른정당 출신이)이혼하지 않을 전제로 말씀드리겠다”며 향후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안철수 전 대표의 정계은퇴를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 평론가는 “현재의 정치력으로는 안 된다”며 “대선끝나고 조급하게 등판했다. 나중에 컴백하더라도 충분히 준비해서 나와야 한다. 3년 정도 공백기를 갖지 않으실 거라면 (정계를)떠나시는 것이 좋다”고 부연했다. 이어 “방탄소년단도 처음부터 잘하지 않았다. 컴백하면서 진화하지 않았느냐”는 비유를 들기도 했다.

최근 바른미래당이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제가 볼 땐 (국민·바른정당 출신 모두) 이념 차이가 거의 없다”며 “결혼생활하는 데 지장없는 차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보다 멀겠느냐”고 짚었다. 정체성 혼란보다는 “사소한 이해관계로 싸우시는 것 같다”고 꼬집으며 “밖에 볼때는 살림이 많지도 않은데 서로 더 많이 차지하려고 싸우는 것 같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향후 이념 지향으로 ‘안보는 좌클릭·경제는 우클릭’할 것을 당부했다. 이 평론가는 “안보는 기존 정부에 문제 제기하는 것은 좋은데 홍준표 쪽으로 가면 안된다. 지금 그 선을 왔다갔다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평론가의 강의가 끝난 후 소속 의원들은 2차에 걸쳐 난상토론(각 2시간)에 임할 계획이다. 이날 워크숍에는 민주평화당에서 활동하는 비례 3인과 유승민·김중로·박선숙 의원등을 제외한 전원이 참석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