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김성태 권한대행 한국당 혁신안 발표했지만…당내 자격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유한국당 김성태 대표 권한대행이 1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깜짝 혁신안'을 내놓았다.

김 권한대행이 발표한 혁신안의 핵심은 ▲ 중앙당 해체 ▲ 당명 개정 ▲ 원내중심 정당 구축 ▲ 구태청산 태스크포스(TF) 가동 ▲ 외부인사를 위원장으로 혁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이다.

그는 또 "집권당 시절 방대한 조직 구조를 걷어내고 원내중심 정당으로 세우겠다"면서 당 자산을 매각하고, 사무처를 구조조정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하지만 이같은 혁신안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우선 당내 호응을 얼마나 얻을지가 관건이다.

당장 선거 패배의 책임론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지적을 받는 김 권한대행이 당내 혁신 작업을 주도할 자격이 있는지를 놓고 비판적 목소리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권한을 위임받지 못한 김 권한대행이 '월권'을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권한대행의 역할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넘어가기 전까지 최소한에 그쳐야 하고, 비상대책위원장이 혁신 작업을 주도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 의원은 "일단 자신부터 이번 선거패배에 대한 책임을 벗어날 수 없는데 어떻게 혁신을 주도한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당내 반발이 거셀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권한대행은 "당 대표 권한대행에게 부여된 당헌·당규상 권리와 의무로서 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며 "당의 혁신과 쇄신, 인적청산 등의 내용은 혁신 비대위에서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혁신안의 내용과 발표 절차를 놓고도 뒷말이 나온다.

무엇보다 중앙당 해체나 당명 개정, 원내 중심정당 구축 등의 혁신안은 선거에서 패할 때마다 나오는 것이라 새로운게 없다는 얘기다.

여기에 외부 비상대책위원장 영입 등은 당내 이견이 분분해 의원총회 등을 통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야 했지만, 그 과정이 생략됐다는 지적도 있다.

한 재선 의원은 "절차적인 면에서 흠결이 있다"며 "중대한 의사결정을 하기 전에 당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했어야 했다"며 "김 권한대행이 자신에게 모든 권한이 위임됐다고 착각한다면 상황 인식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