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국정원 前간부 “MB 국정원, 盧 풍문 조사…정당한 업무 아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 풍문을 조사하고 다닌 것은 정상적인 업무가 아니었다는 당시 국정원 간부의 증언이 나왔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과 관련된 풍문을 확인하고 다닌 것은 정상적인 업무가 아니었다는 당시 국정원 수뇌부의 법정 증언이 나왔다.

21일 이종면 전 국정원 3차장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김선일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김승연 전 대북공작국장의 재판에 증인으로 나와 원세훈 전 국정원장 시절 수행한 ‘연어 사업’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이종명 전 국정원 3차장은 21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김선일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김승연 전 대북공작국장의 재판에 증인으로 나와 원세훈 전 국정원장 시절 수행한 ‘연어 사업’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연어 사업’은 2011년 말 사행성 도박게임 ‘바다이야기’ 사건에 연루돼 해외 도피 중이던 A씨가 노 전 대통령 측근에게 금품을 제공했다는 풍문을 듣고 그를 7일 만에 국내에 압송한 일을 말한다. 이 사업에 8천여만원의 대북 공작비가 쓰였으나 의혹은 사실무근으로 판명됐다.

당시 국정원 3차장이자 ‘연어 사업’ 태스크포스(TF) 팀장이던 이 전 차장은 검찰이 “해외 도피 범죄자를 국내에 신속히 데려오는 게 대북공작국 등의 담당 업무인가”라고 묻자 “상식적으로 정당한 업무라고 생각하긴 어렵다”고 답했다.

이 전 차장은 검찰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일이었느냐”고 거듭 묻자 “그랬다면 이렇게 큰 마음의 부담은 갖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책임 회피성 발언인 것 같아 죄송하지만, 당시 원장의 지시를 어길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털어놨다.

이 전 차장은 검찰이 “당시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흠집을 찾아내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던 것인가”라고 묻자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했는지는 모르겠다”면서도 “경찰 인터폴 협조를 구할 수 있었는데도 굳이 원장이 그렇게 지시한 처사에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원 전 원장 시절 국정원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미국 비자금 의혹 관련 사찰 활동인 이른바 ‘데이비슨 사업’도 벌였다.

이 전 차장은 “김승연 국장에게서 데이비슨 사업과 관련해 도표로 간략히 보고를 받았다. 당시 도표에 김 전 대통령의 3남 이름이 들어있었다”고 기억했다.

그는 이 사업의 경우 당시 야권을 흠집 내려는 정치적 의도를 갖고 시작한 것 같다는 견해를 밝혔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